earticle

논문검색

마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 -『유가사지론』종자설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la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Natural Environment - Focused on The Bīja(Seed) Theory of The Yogācārabhūmi -

강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he problem of the bhājanaloka(器世間) which is united with the ālayavijñāna. From the concept of upādi having been established in the Sandhinirmocanasūtra, the upādi of ālayavijñāna have been known as satindriyakāya(有根身), nāman(名言), the bhājanaloka. satindriyakāya is ātma-bīja(自種子) made by itself, nāman is the dharma of prapañca(戱論) made by the differentiation to the object, and the bhājanaloka is all thing of the object world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universe. In Abhidharma buddhism, the bhājanaloka is set limits to kāma-dhātu(欲界), and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 of time, but, in Vijñāptimātra thought, the bhājanaloka have been understood in the view point of the phenomenon of the mind.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about20 kinds of the bhājanaloka. In this paper, we will observe that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bhājanaloka not only in the point of time which is same with the point of Abhidhrma buddhism, but also in the point of the relation with prapañca of grāhya-dharma(所取法) which we can say as the objectivity of object. The Yogācārabhūmi also explains on the bhājanaloka as the appearances of ālambana of outer conditions(外緣)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with ātma-bīja of inner conditions(內緣), and in the relation with lakṣaṇa-bandha(相 縛) which is made by an outer perimeter in the ālayavijñāna. Amomg the 22 kinds of the bhājanaloka theories explained in the Yogācārabhūmi, the one which explains on the unite with the ālayavijñāna is bīja-āśraya(種子依) of pañca-vijñāna-kāya-saṃprayuktā-bhūmi(五識身相應地) in Bahubhumika(本地分), and the part of outer ālambana(所緣) in the saṃkleśa-nivṛtti-laṣaṇa(雜染還滅相) of pañca -vijñāna-kāya-saṃprayuktā-bhūmi namas-bhūmi(五識身相應地意地) in Viniścayasaṃgrahaṇī(攝決擇分). Here,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that the appearance of the bhājanaloka is dependent on devide, and it never stop at any time because it holds the ālayavijñāna by the condition of inner ātma-bīja, and it is similar that when a lamp starts to fire, there is the exposing of the light from holding a lamp wick. Such a interconnectivity between the ātma-bīja of inner conditions and the bhājanaloka of outer conditions is similar to the bhājanaloka-bīja theory in the Mahāyānasaṃgraha, and to the concept of the sthāna-vijñaptika(處 了) in the Triṃśika Vijñaptimātratāsiddhi, and it is related with the theory of The commentary on Triṃśika Vijñaptimātratāsiddhi compiled by Hsuan-tsang(成唯識論) that inner consciousness changes along with outer appearance, so makes the concept of the subject-object.

한국어

본 연구는 아뢰야식의 마음에 결합하고 있는 자연환경으로 대표되는 기세간의 문제를 다룬다. 아뢰야식 사상은 『해 심밀경』 이래 집수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아뢰야식이 대표적으로 집수하는 것은 유근신(有根身), 명언(名言)이라고 한다. 유근신은 스스로 지어놓은 자종자(自種子)에 해당하고, 명언은 수많은 객관에 대하여 분별하여 만들어 놓은 희 론(戱論)의 법종자라고 할 수 있다. 집수의 개념은 유근신의 몸과 문자와 언어로 대표되는 명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유식은 마음의 기능에 점차 객관에 놓인 무시무변의 자연환경과 우주법계 일체라고 할 수 있는 기세간의 문제를 조심 스럽게 포함시키고 있다.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 자연환경을 포함하는 기세간을 욕계로 한정하고 시간적 개념으로 이해하지만, 유식불교에 이르면 점차 마음의 현상과 결합시켜 더 넓은 세계로 이해하게 된다. 특히 『유가사지론』은 각 지분 간의 성립연대가 다르긴 하지만, 한역 100권을 전반적으로 조망할 때 기세간에 대하 여 20여 종으로 설명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한역 『유가사지론』의 전반적 기세간 설을 정리한 결과, 다음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아비 달마의 방식과 같은 기세간의 성립과 붕괴를 시간적으로 기술하기도 하지만, 객관의 대상성이라고 할 수 있는 소취법 (所取法)의 희론과 관계한다고 기술하고 있었다. 둘째, 내연(內緣)의 자종자(自種子)와 상호 연결되는 외연(外緣)의 기세간의 모습이 동시성이라고 보고 있었다. 셋째, 기세간을 종자로 보고 아뢰야식 속 외부경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박(相縛)과 관계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유가사지론』의 22종의 기세간설 중 아뢰야식과의 결합을 설명한 것은 본지분의 「오식신상응지」에 나타난 종자 의(種子依)였으며, 섭결택분 중 「오식신상응지의지」에 나타난 아뢰야식의 잡염환멸상 중 외부의 소연상(所緣相)부 분이었다. 특히 소연상 부분에서는 외부의 무분별의 기세간의 모습은 요별을 의지하는 것이며, 안의 자종자(自種子)를 연(緣)하 여 아뢰야식을 집수하기 때문에 모든 시간에 끊어짐이 없으며, 기세간의 모습은 등불이 생길 때 안의 기름 심지를 집 지해야 밖의 광명이 비추는 것과 같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내연의 자종자와 외연의 기세간의 상호연결성은 『섭대승 론』 계통의 공종자의 기세간종자설과 흡사하며, 『유식삼십송』의 처료(處了; sthāna-vijñaptika)의 개념과 흡사하 며, 『성유식론』의 내식이 밖의 경계와 흡사하게 전변하여 아와 법의 분별을 낳는다는 논리와도 관계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가사지론의 기세간 접근방법
 Ⅲ.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기세간 종자설
  1. 아뢰야식과 기세간의 관계
  2. 아뢰야식 기세간 종자설
 Ⅳ.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명희 Kang, Myung-hee. 동국대 불교대학원 명상심리상담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