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월정사 탑돌이의 민속과 계승방안

원문정보

Folklore of WolJeongSa Folk Play and Plans for Succession

구미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ctagonal nine story stone pagoda of WolJeongSa has a meaning of Dharma, and signifies pole belief above Earth and sky and the full balance between yin and yang. Therefore, various religious beliefs surrounding the pagoda are actively spread out and amongst them, the folk play representing Buddhist Pagoda worship method has been passed on. Therefore, referring to the passing origin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WolJeongSa Folk Play’s, the folk play’s main agent, time, and method were investigated to find a desirable succession method. Looking at it from a ritual agent perspective, the image of bodhisttva praying in front of the WolJeongSa pagoda which is a deep promotion of the sacrifice of oneself by sacrificing their body to give medicine to cure the body and mind. This shows if one has an earnest wish and faith, one may be able to go over the limits and be at a stage of extremity. Looking at the time, the folk play on a full moon is accepting the natural cycle and suits the Korean religious emotion most well. As a ‘Moon Festival’ it is most desirable to act the folk play at night when the moon rises. The method of the folk play was dealt with more detail. The ‘Full Moon’ and the ‘Circle’ have a significant symbolism of the Buddhist folk play. Circling the pagoda allows continuous creation of these symbols during the ritual. A plan to expand the folk play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of circling Buddha was investigated. Before the folk play is done, three bows must be done to the Buddhist temple and then circling the temple and pagoda to prepare themselves for the folk play. When doing the folk play, circling the temple as well as the pagoda is included and at the end, the pagoda and temple must be circled together. In large folk plays, groups are divided into large and small groups which circle in the order ‘pagoda-temple-pagoda-temple’ in circles which propose a grandeur and unique circling ritual to pass on. Next, the circling of ‘The painting of ten Paramita’ and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is handled in a dual plan. Currently, the folk play of WolJeongSa, an abbreviated quarter sized circling is done but the method proposed in the ‘SeokMunuibeom’ is introduced to draw ‘The painting of ten Paramita’ on every side surrounding the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and circle together. Along with this, methods for ‘Para Dance’·‘Butterfly Dance’ and techniques acted along with ‘The painting of Dharma-nature’ were deal with.

한국어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삼보의 요체라는 불교 본래의 의미와 함께, 광범위한 입간신앙(立竿信仰)의 기반 위에 천지 음양의 조화가 충만한 상징성을 지녔다. 따라서 탑을 둘러싼 다양한 신앙행위가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불탑숭배방식으로 탑돌이가 전승되어왔다. 이에 월정사 탑돌이의 전승내력과 현황을 참조하는 가운데 바람 직한 계승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탑돌이의 주체와 설행시기, 설행방법의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의례주체의 측면에서 봤을 때, 월정사 탑 앞에 기원하는 보살상은 지극한 신심으로 소신공양(燒身供養)을 한 약왕보 살(藥王菩薩)을 나타내고 있어 간절한 소망과 믿음을 지닌다면 어떠한 경계도 뛰어넘어 궁극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 을 말해준다. 의례시기에 주목했을 때, 보름밤의 탑돌이는 만월이라는 자연주기를 탑돌이의 주된 요소로 수용함으로 써 한국인의 종교적 정서에 가장 어울리는 전통축제의 면모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달의 축제’로서 탑돌이의 상징 성에 주목한다면 탑돌이는 달이 뜨는 밤 시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탑돌이의 설행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만월의 정기’와 ‘불법의 요체’가 충만한 월정사 탑돌이는 오대 산 화엄사상을 구현하는 불교축제로 삼기에 매우 적합하다. 불교의 탑돌이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니는 것은 ‘만월’ 과 ‘원’이며, 탑을 도는 것은 의례의 시공간에서 이러한 상징을 끊임없이 만들어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전통적으로 행하던 요잡문화를 탑돌이에서 확대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탑돌이를 하기 전에 불전에 삼배를 올 리고 불단 앞과 법당을 도는 사전의식을 행함으로써 탑돌이에 임하는 마음가짐을 가다듬도록 하였다. 탑돌이를 할 때 는 탑을 도는 것만이 아니라 법당을 도는 순서를 포함하고, 마지막에는 탑과 법당을 함께 돌도록 하였다. 아울러 규모 가 큰 탑돌이에서는 ‘탑-법당-탑과 법당’을 도는 집단을 각기 나누어 크고 작은 세 개의 원을 그리며 돎으로써 장엄 하고 독특한 요잡의식을 계승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십바라밀도와 법성도의 수행도(修行圖) 돌기를 이원화하는 방안을 다루었다. 현재 월정사 탑돌이에서는 4 분의 1로 축약한 법성도만 돌고 있으나, 『석문의범』에 제시한 방식을 그대로 도입하여 탑과 법성도를 둘러싼 사방 에 십바라밀도를 그려놓고 함께 도는 것이다. 아울러 바라춤·나비춤 등의 작법을 십바라밀도를 돌 때 행하는 방안 등 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천지조화의 상징,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Ⅱ. 월정사 탑돌이의 복원과 전승내력
 Ⅲ. 탑돌이의 주체에 대한 주목
 Ⅳ. 탑돌이의 시기에 대한 주목
 Ⅴ. 탑돌이의 방법에 대한 주목
 Ⅵ. 오대산 화엄사상의 구현, 월정사 탑돌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미래 Koo, mee-rae. 건국대학교,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