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entrepreneurial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definition and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considering the early stage of domestic start-up company in Korea. This study survey 275 domestic nascent entrepreneur and start-up company during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tor competency affects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at market-taking performance, technology-taking performance, financial- assembling performance, human resource performance. Second, entrepreneurial mentoring career function affect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lso affect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human resources of secure corporate market, human resources, securing more funding and human resources, and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are really relevant this non-financial performan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tarted out as enhanced mentoring programme capacity building for start-up which complie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inauguration of the beginning, and mentoring function, the founder of the systematic utilization has be derived.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 창업자 및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및 경영성과 영향요인으로 창업멘토 역량 및 창업멘토링 기능이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창업멘토링을 수행하고 있는 예비창업자 및 초기 창업기업 275개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업멘토역량은 창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멘토링의 기능 중에서 경력관련 기능은 창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사회적 기능과 기술 확보 성과, 역할모델과 기술 확보 성과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셋째, 초기 창업기업의 시장 확보, 기술 확보, 자금 확보, 인적자원 확보 등의 창업성과는 비재무적인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금 확보 및 인적자원 확보와 재무적 성과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대한 창업멘토링의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멘토역량 강화프로그램 강화와 더불어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부합되는 창업 멘토링 기능의 체계적 활용 등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창업멘토의 역량
2. 창업멘토링 기능
3. 창업 및 경영성과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자료수집
2. 변수의 측정 및 가설 설정
IV. 실증분석 및 가설검증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3. 연구모형의 검증 : 적합도 평가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