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卷第12~20에 角筆로 기입된 諸符號

원문정보

Marks Written in Gakpil in the Volume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akaSutra Owned by Todaiji Library

동대사도서관 소장 『대방광불화엄경』권제12~20에 각필로 기입된 제부호

박부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marks written in gakpil in the Volume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akaSutra owned by Todaiji Library, which was transcribe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o report the over all features of the marks to the academic community. It shall directly prove the marks used in understanding or reciting the texts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heir specific roles respectively. To begin with, the marks written in gakpil in the AvatamsakaSutra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marks related to the texts, which includes Hap-bu (合符, marks for the aggregation), Hundok-bu (訓讀符, marks for rendering Chinese writing into Korea), Sangryak-bu (省略符, apostrophe), Sakje-bu (削除符, marks for elimination), and the ones to the recitation, comprised of Seongjeom (聲 點, marks for the “Four Tones” of classical Chinese) and Beompae-bu (梵唄符, marks for the Buddhist chants). Amongst the marks, it 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 of the starting point of Beompae-bu to Seongjeom cannot be contradicted in case of Pyeongseongja(平聲字), after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le relations suggested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re also exist the undeciphered mark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ew of them could be the ones for the translation and reading. Based on the examination on each mark, it is ascertained that the location and the form of the marks do not show the pattern of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indicating function of the marks in the AvatamsakaSutra owned by Todaiji Library.

한국어

본고는 8세기 중반에 書寫된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卷第12~20에 角 筆로 기입된 符號를 정리하여 그 전체 모습을 학계에 보고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8세기 중반에는 텍스트를 이해하거나 讀誦하는 데에 어떤 부호가 사용되었는지, 그 부호 는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했는지 단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우선 동대사 화엄경 에 각필로 기입된 부호는 텍스트와 관련된 부호와 讀誦과 관련된 부호로 나눌 수 있었다. 텍스트와 관련된 부호로는 合符, 訓讀符, 省略符, 削除符 등이 있으며, 讀誦과 관련된 부 호로는 聲點과 梵唄符가 기입되어 있다. 이 가운데 기존의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梵唄符의 시작점과 聲點의 관계를 점검해 본 결과 평성자의 경우는 그 관계를 부정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각 부호를 살펴본 결과 동대사 화엄경에 기입된 부호는 기입 위치 및 부호의 모양과 그 부호가 표시하는 기능이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았다. 이외에 미해독의 부호도 적지 않은데 그 가운데 몇몇은 逆讀線으로 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텍스트와 관련된 부호
  2.1 合符
  2.2 訓讀符
  2.3 省略符
  2.4 削除符
 3. 讀誦과 관련된 부호
  3.1 聲點
  3.2 梵唄符
 4. 미해독의 부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부자 Pakh, bu-ja.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