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편찬ㆍ간행과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Unho Im Jeongju’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Yunjidangyugo, His Composition of the Woodblock Types and Their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brings to light the composi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blocks used to publish Yunjidangyugo (允摯堂遺稿), the work compiled and published by Unho Im Jeongju. Unho Im Jeongju (任靖周, 1727∼1796) was a Neo-Confucian scholar in Yeongjo’s and Jeongjo’s reign of Joseon, whose academic origins lay in the late Joseon Yulgok faction’s semiotics branch of cosmo-ontology. His teacher was his second older brother Nokmun Im Seongju while his elder sister Im Yunjidang was his academic companion. He re-edited the original manuscript of Yunjidangyugo left to him by Im Yunjidang, and published it with the woodblocks he had formed to publish Collected Works of Nokmun (Nokmunseonsaengmunjib). The woodblock types were created mainly by Im Jeongju with the primary purpose of publishing Collected Works of Nokmun. He composed them in Cheongsanhyeon during what is estimated as between the thirteenth year and the nineteen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89∼1795) when Im Jeongju was serving as governor there. Consequently, the woodblock types were named “Im Jeongju Woodblocks” after their composer. An examination of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 Jeongju Woodblocks” used in the publication of Yunjidangyugo reveals that the classical Chinese particle samples ji(之), bul(不), ghi(其), wi(爲), i(而), ya(也), ho(乎), i(以) and jae(㦲) were based on Yan Zhenqing‘s writing, skillfully reviving i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 character eo(於) does not use the simplified phono-semantic character as often used by Yan Zhenqing. Also, the last left-falling stroke of the character i(而) and the long right-falling stroke on the right side of the character jae(㦲) show great virtuosity. There are three original calligraphic styles in Im Jeongju’s writing. First, he shows virtuosity in elongating the vertical strokes or right-falling strokes and lifting the edge ever so slightly, as he does with characters such as chig(則), ssi(氏), min(民), a(我) and i(已). Secondly, he creates two unique kinds of writing by composing his own stroke order for the character pil(必) rather than following the original order. Thirdly, he avoided making the characters similar when several dots in the character lined up and so marked some dots in the opposite layout or changed the direction of the strokes as he did with the characters an(顔), sol(率) and others, and he omitted the last stroke for the left additional element yo(幺) when forming the character rak(樂) while writing the character eung(凝) as a variant form. This study will henceforward be used in the basic studies of bibliography as well as in those of the history of printing culture and folk woodblock printing.

한국어

이 글은 운호 임정주가 편찬․간행한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와 간행에 사용되었던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을 밝힌 것이다.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 1727∼1796)는 조선 영․정조대의 성리학자로 학문의 연원은 조선 후기 율곡계(栗谷系)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기파(主氣派)이며, 스승은 둘째 형인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이고, 임윤지당(任允摯堂)은 그의 누이이자 학문적인 동지이다. 그는 임윤지당이 그에게 남긴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초간본을 재편집하여 『녹문선생 문집(鹿門先生文集)』을 간행하기 위해 조성했던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목활자의 조성과 관련된 사항을 살펴본 결과 목활자 조성의 주관자는 임정주이고, 목활자의 일차 조성목적은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을 간행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조성처는 청산현이고, 조 성시기는 임정주가 청산현감(靑山縣監)으로 재직하고 있던 정조 13년(1789)부터 정조 19년(1795)까 지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목활자는 조성자의 이름을 붙여 ‘임정주목활자’로 명명하였다. 『윤지당유고(允摯堂遺 稿)』의 간행에 사용된 ‘임정주목활자’의 서지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표집 된 어조사의 샘플인 ‘지(之), 불(不), 기(其), 위(爲), 이(而), 야(也), 호(乎), 이(以), 재(㦲)’에서는 안진 경의 필체를 근간으로 하여 그 특징을 잘 살려내고 있으며, 그중 어(於)자는 안진경이 즐겨 쓰던 속자인 어(扵)의 자형으로 쓰이지 않았고, 이(而)자의 마지막 삐침획과 재(㦲)자의 오른쪽 긴 파임획 에서 멋부림의 기교가 나타났다. 임정주의 글씨체 중 멋부림의 독창적인 글씨체는 첫째, 세로획 또는 파임을 길게 해서 끝머리를 살짝 들어 올리는 듯한 기교를 부린 것들이 있는데, 칙(則), 씨(氏), 민(民), 아(我), 이(已) 등이고, 둘째, 필(必)자는 획순의 본래 순서에 관계없이 필획의 순서를 바꾸어 두 가지 의 독창적인 글씨체를 구현하였으며, 셋째, 글씨를 쓸 때 여러 개의 점이 병렬하게 되면 같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몇 점을 반대 형세로 찍거나 자획의 방향을 바꾼 것은 안(顔)자, 솔(率)자 등이 있고, 락(樂)자는 좌측 부수 요(幺)에서 마지막 획을 생략해서 쓰기도 하고, 응(凝)자는 이체자로 표기 한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서지학 분야의 연구는 물론 인쇄문화사, 민간목활자 연구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운호 임정주의 생애와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의 편찬ㆍ간행
  2.1 운호 임정주의 생애
  2.2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의 편찬ㆍ간행
 3.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간행을 위한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
  3.1 목활자의 조성
  3.2 목활자의 서지적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