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organized some of my notes when I took field work to record Korean Chinese migrant’s oral history. First, Korean Chinese themselves name and language are effected by their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nd also effected by interviewer and external environment. Second, about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the economic approach is not enough, we have to care the cultural variables and their experiences when they were in China. Third, though Korean Chinese’s family are changed to a trans-national family and still maintains the family ties, we can find the transition of family structure is weaken or lose the family ties when we use a historical approach.
한국어
이 글은 이주민으로써 한국체류 조선족의 구술녹취를 하는 과정에, 면접현장에서 수집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먼저 조선족들의 명칭과 그들이 구사하는 언어의 문제인데,조선족 들은 개인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변수와 면접당시 면접자 및 외부환경에 의해 자신이 속 한 민족집단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고 언어도 달리 구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족의 한 국 이주에 대해 살펴보면 기존의 연구에서 흔히 강조하는 경제적 동기와 달리 문화적, 경험 적 요소들도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마지막으로 가족구조의 변화를 보면,보다 역사 적인 접근을 해 보고,세대적,즉 수직적 가족구조의 변화를 추적해 보면 이들의 구술을 통 해 우리는 가족유대는 약화되거나 제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명칭의 혼동과 사투리 및 억양
1) 명칭의 혼동
2) 사투리(용어와 억양)
3. 이주, 비운의 서사인가 희망의 서광인가?
4. 이주, 가족의 해체인가 새로운 가족구조인가?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