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Korean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of Middle Aged Persons(2010),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variability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by gender. Couple satisfactio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expectations for the standard of living after 10 years were 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models. It was noticeable to report that internet use level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unique predictors for male model; spouse parent care burden and parent-child satisfaction were unique predictors for female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vital for policy planners to take gender differences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d formulating public policies for Korean Baby Boome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와 성인자녀를 동시에 부양하는 샌드위치세대인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중년층(46-59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2010)⌟ 데이터파일 가운데 1,152건을 분석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부모부양부담(β=-.205), 자녀관계만족도(β=.202), 부부관계만족도(β=.200), 주관적 건강상태(β=.155), 10년 후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기대(β=.143)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 베이비부머의 경우 여성 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았던 인터넷활용도(β=.247)의 영향력이 크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결과는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성의 경우, 배우자부모에 대한 부양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해야하는 베이비부머들에게 시부모부양은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2.2 경제상태와 삶의 만족도
2.4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
2.5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만족도
2.6 가족에 대한 부양부담과 삶의 만족도: 노부모부양부담과 성인자녀부양부담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3.2 주요변수의 측정
4.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조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평균값 차이
4.3 가족관계 만족도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삶의 만족도 평균값 차이
4.4 부양부담에 따른 삶의 만족도 평균값 차이
4.5 상관관계 분석
4.6 다중회귀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