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담론 윤리의 이론적 전략과 의의

원문정보

On the theoretical Strategy and Meaning of the Discourse Ethics

권수현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66집 2014.03 pp.227-24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an moral norms rationally be justified? If so, how can it be managed to do? As answer to thisquestion Habermas suggests, as you know, the discourse ethics. Starting from a standpoint ofuniversal pragmatics, he tries to show, how truth is able to reconstruct with regard to thediscourse ethics; to what extent problems which arise from the context of validity claims on truthand rightness can be dissolved; and further, in what connection discursive truth and rightnessstand with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 discourse ethics established in this way turns out to benot only a language pragmatical transformation of the Kantian moral philosophy, but also a depthhermeneutical transformation of the hermeneutics. Namely, reconstructing a universal ethics asturning from the subjective monologue of atomic individuals toward the intersubjective dialoguebetween members of language community on the one hand, and grasping the epistemic horizonnot as eternal absolute truth, but as historical truth that changes in horizontal fusion with theothers on the other hand, Habermas stands on the normative tradition, but criticizes the empiricalmodernity. Looked at the discourse ethics from the view point of theoretical perspective, its theoreticalstrategy is based on the basic theorems of universalization and the ideal discourse situation. Therefore, criticism of these topics and counterarguments against these make a constructiveenergy to be able to refine the discourse ethics. The basic theorems of universalization arecriticized in terms of cultural relativism and proof theory; and these criticism are refuted with anargument of performative self-contradiction. As far as the ideal discourse situation is concerned,doubt on the normative function of transcendental premise of it as well as impossibility of rationalconcent are raised; and these objections can be weakened by pointing the role of counterfactualconstruction and the weak claim of validity.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communicative action theory and the discourse ethics andexplore, how arguments against criticism of Habermas’s conception can be possible. Furthermore,I will try to shed new light on the discourse ethics as a universalist ethics in the ethical topologynowadays in which instrumentally distorted rationality and relativism as a reaction against it prevail.

한국어

도덕적 규범은 합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하버마스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담론윤리를제시한다 . 그의 이론적 출발점은 보편실용학으로서, 어떻게 진리가 담화이론적으로 재구성될 수있는지, 진리 와 올바름에 대한 타당성의 요구에 대해 담론적 해소가 가능한지 그리고 담론적 진리와 올바름이 의 사소통적 합리성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확립되는 담론 윤리는 칸트의 도덕철학 에 대한 언어 실용적 변형이자 해석학에 대한 심층해석학적 변형이다. 즉,한편으로 원자화된 주체의 주관적 독백으로부터 언어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호주관적 대화로 보편윤리를 재구성하고, 다른 한편 으로 인식의 지평을 고정불변한 절대적 진리로부터 타자와의 지평융합 속에서 변화하는 역사적 진리 로 파악함으로써, ‘규범적’ 전통에 서서 ‘경험적’ 근대를 비판한다. 담론윤리의 전략은 ‘보편화기본명제’와 ‘이상적 담화상황’에 근거를 둔다. 보편화기본명제는주로 문 화상대주의와 증명·이론적 관점에서 비판받는데, 이에 대한 반론으로 ‘발화이행적 모순’이 제기된다. 이상적 담화상황은 ‘선험적 전제’로서의 규범적 기능에 대한 의문과 합리적인 합의의 불가능함이 주 로 비판의 대상이 되며, 반론으로 ‘반사실적 구성’의 역할과 ‘약한 타당성의 요구’가 제기된다. 이에 본 논문은 담론 윤리의 기획을 분석하고 이상적 담화상황의 정당화 전략에 대한 비판자들의 견 해와 그에 대한 반론이 어떻게 가능한지 탐색한다. 이와 함께 도구적으로 왜곡된 합리성과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상대주의가 판을 치는 오늘날 윤리적 지형에서 보편주의 윤리로서담론 윤리이론이 갖 는 의의를 재조명한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의사소통행위이론과 담론윤리
 3. 보편화 기본 명제에 대한 비판과 비판에 대한 반론
 4. 이상적 담화상황의 정당화 전략에 대한 비판
 5. 이상적 담화상황의 비판에 대한 반론
 6. 심층해석학으로서 의사소통이론
 7. 계몽의 시대에서 계몽된 시대로: Sapere aude!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권수현 KWON Su Hyeon. 성신여자대학교 윤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