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의 무위 사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oncept of Wewei(Non-action) in Donghak

황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uthor, focusing on Mencius, Chang Tsai, Cheng Ming-tao and DongHak, draws acomparison between Chinese Confucianism and the ecophilosophical meanings of DongHak. Firstof all,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cting nature's non-action', which is permeated through thedoctrine on mind & nature and the doctrine on cultivation of Mencius. It also demonstrates thecorrelation between agricultural civilization and 'acting nature's non-action'. Secondly, this studyinvestigates how the ideas of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that wasformulated in pre-Qin dynasty, was more established in North Song dynasty. Specifically, itanalyzes the division of 'the nature of heaven(TienXing)' and the human nature in the thoughts ofChang Tsai, who invented the term called 'the unity of heaven and man'. Furthermore, it looksinto the weak point of Cheng Ming-tao's idea, which insisted the unity of 'principle ofproducing(Sheng Li)' and 'benevolence(Jen)'. Finally, this paper inspects closely the ecophilophicalmeanings of DongHak, which criticized and inherited Confucianism in order to find out thesignificance and limitation inside i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DongHak accepts the concept ofnature(Xing) and unity of heaven and man of Neo-Confucianism, it clearly shows the difference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ism in that DongHak declares the subjectivity ofheaven(Tien), and criticized doctrine on priority or posteriority of principle(Li) and material force(Qi)with the concept of Great Qi. Moreover, it finds that Lee Don-Hwa's 'YinGanGyeuk' concept hasmuch deeper ecophilosophical meanings than the traditional 'personality' concept. It also finds thatChoi Si-Hyung's 'Rice(Shik)' thought transformed problems on the desire into the things that hascosmological and ecological meanings.

한국어

이 글은 도가적 무위 개념이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에 의해 어떻게 수용되고 변형되었으며,그의 계승자인 최시형과 20세기 전기 천도교의 대표적 이론가인 이돈화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구체적인 의미를 띠고 발전했는지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노자에 의해 정초된 도가의 무위 개념에는 본디 문명 비판의 정신이 깃들어 있다. 최제우는 이 무위 개념과 그것이 지닌 문명 비판의 정신을 수용하였으되 무위에 하늘님에 의한 조화 작용의 계기가 있음을 천명함으로써 동학의 무위와 도가의 그것을 차별화하며, 하늘님이 자연의 영역에서 무위의 원칙에 따라 만물을 생육한다는 관념에 근거해 인위로 가득 찬 서구 근대문명을 비판한다. 사실 최제우는 하늘님이 구도자에게 어떤 신비로운 힘을 부여해준다는 의미로도 무위 개념을 빈번히 사용하였지만, 최시형과 이돈화가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은 자연의 영역에서 하늘님이 지키는 무위의 원칙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과 관련해 최시형은 성리학의 이기(理氣) 범주로 동학의 교의를 재해석하기도 하였고 인간이 따라야 할 무위의 원칙을 하늘님, 타인, 자연물에 대한 공경의 윤리로 구체화하기도하였다. 한편 이돈화는 서양철학의 목적론과 그것에 대한 비판을 소개한 후, 동학의 무위이화(無爲而化)를 미시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무목적성과 거시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우주의진화로 해석함으로써 여러 대립적 관점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시형의 무위 사상은 동학의 무위 관념이 지닌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비판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나, 이돈화의 경우에는 그 정신을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하겠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최제우의 무위이화
 3. 최시형과 이돈화의 무위이화에 대한 해석
 4. 맺음말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황종원 HWANG JongWon.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