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거버넌스와 지역경제

지역생태지식을 활용한 주민 참여형 자연 자원 관리 : 태국 타살라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Local ecological knowledge matters to how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develops : Focusing on the Tha Sala case in Thailand

김고운, 이미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local ecological knowledg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of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rough a case studyin Thailand. Community-bas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CBNRM) has beenadvocated to create local ecological knowledge (LEK) and tackle ineffective managementby remote top-down planning and centralized management. However, otherscriticize this approach for complicatedness in governance practices and/or hiddencost of public participation. Thus, recent studies turn their focus to rather contextualdevelopment of mixed institutions than generalized application of single institution,moreover, to adopt heuristic approach based on the social learning of governancepractices at the community level. Theoretically, this study prompts to raise questionson to what extent CBNRM evolved as an institution by analysing multi-stakeholderparticipation. Empirically, this study aims to put forward the contemporary governanceliterature by investigating how environmental conflicts have been managedby the current governance structures in the Thailand, where top-down and bottom-up institutions are interconnected and/or contested one another. Furthermore,to understand grassroots move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through this researchmay shed lights on a bigger question: how South Korean public/civilian organizationswork together with Thai society for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ekongregion.

한국어

본 연구는 마을 공동체가 창출하는 지역생태지식을 활용한 자연 자원 관리에대한 사례 연구로서, 태국 남부 타살라 지역이 대상 사례이다. 주민 참여형 자연자원 관리는 비효율적일 수 있는 중앙집권적인 자연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제도가 도입된 이후 거버넌스의 복잡성 증가,과다한 참 여 비용 문제 등 단점도 최근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관련 연구에 있어 제도의 혼합(institutional mix)을 제도 형성과 운영의 맥락(context)에 맞춰 해석하여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을 하고, 이를 다시 제도 개선에 투입하는 ‘발견법(heuristic)’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태국 사례를 통해 구체화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태국의 마을공동체 주도형 자연 자원 관리 사례는 이론적 및 실증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으로는 참 여형 자연 자원 관리가 발전해온 제도 발전의 맥락과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거버넌스가 연구 대상이 된다. 실 증적으로는 상향식 및 하향식 제도 발전이 부딪치는 현장을 분석함으로써 주민들과의 갈등 기제와 이를 극복 해나가는 거버넌스에 대한 성찰적 발전을가능하게 한다. 최근 메콩 지역에 대한 민간 차원의 교류와 연대가 빈번해지는요즘 이러한 태국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는 한국 시민사회와 공공자원 관리에서 정책적 시사점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주민 주도의 자연 자원 관리의 발전과 지역생태지식의 역할
  1) 주민 주도의 자연 자원 관리와 참여형 거버넌스의 발전
  2) 환경 거버넌스에서 지역생태지식의 역할
 3. 태국의 지역생태지식 활용 및 주민 참여 제도의 발전
  1) 타이 반(Thai Baan) 조사의 발전
  2) 마을 건강영향평가(CHIA)의 발전
 4. 지역생태지식을 활용한 타살라 지역 사례
  1) 마을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지역생태지식의 창출
  2) 지역생태지식의 활용
 5. 결론 및 시사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고운 Kim, Ko-Un. 부경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비상임연구원
  • 이미홍 Lee, Mi-Hong. 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