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use of Taekhos(宅號, terms of address ofhousehold) for married women, such as daek, -jip, -sil, in Eon'gan(諺簡,vernacular letters) written from the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y. First, -daekwas combined with the surname or the government position title of husband, orthe name of the place where one lived, and could refer to both older andyounger women among relatives. However, there appears to be no use of -daekto call the ones in blood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the younger women. On thecontrary, -jip and -sil could refer to women in both blood and non-bloodrelationships, but not to the older women. This difference suggests that -daek wasused in relationships that required more politeness. The most widely used Taekhoin Joseon Dynasty was – jip, which could refer to the woman in both blood andnon-blood relationship amongst relatives, and combine most extensively with thesurname or the government position name of husband, the name of the placewhere one lived, or the surname and seobang(셔방, husband) together. -Sil sharescertain aspects similar to the use of – jip. It appears in Eon'gan from theeighteenth century, as well as Eon'gan from the families living in the southernpart of Korea, which leads to the assumption that some of the Taekhos thatcombined with -jip were substituted by the ones with – sil, the Chinese character. Taekho has been reduced moreso than the ones in Eon'gan from the sixteenth tonineteenth century. There needs further research on the process of combinationand reduction of Taekho.
한국어
본고는 16~19세기 언간을 대상으로 ‘-, -집, -실’ 등을 이용하여 혼인한 여성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 宅號의 사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은 [남편의 성씨], [남편의 벼슬명], [지명]에 결합하였다. 친족 내의 손위, 손아래 여성을 모두 지칭할 수 있었으나 친족 중 혈연관계, 특히 손아래 여성에게 쓰인 경우는 없다. 반대로 ‘-집’과 ‘-실’은 친족 내의 혈연관계와 비혈연관계의 여성을 모두 지칭할 수 있었으나 손위여성에게 쓰인 예는 없다. 이는 ‘-’이 그만큼 예의를 차려야 하는 관계에서 사용된 택호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집’은 조선시대 택호 가운데 가장 폭넓게 사용된 것이다. 지시 대상도 친족 내에서 혈연과 비혈연 관계에 있는 여성을 모두 아우를 수 있었고, [남편의 성씨], [남편의 벼슬명], [지명], [남편의 성씨+셔방] 등 분포 또한 가장 넓었다. 마지막으로 ‘-실’은 ‘-집’의 사용 영역 일부를 완전히 공유한다. 18세기 언간에서부터 확인되고 남부지방에 세거지를 둔 집안의 언간에서 확인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집’이 결합한 택호 중 일부가 한자어 ‘-실’로 대체되는 변화 양상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는 택호가 16~19세기의 언간에서 살펴본 것보다 매우 축소되어 있다. 어떤 과정을 거쳐 택호의 결합 양상 및 지시 대상이 현재와 같이 축소되었는지가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宅)’ 결합 택호의 사용 양상
3. ‘-집’ 결합 택호의 사용 양상
4. ‘-실(室)’ 결합 택호의 사용 양상
5. 친족 내에서의 택호 사용 양상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