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시대적 변이에 관한 연구 : 호남 우도농악 판굿 공연 자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Variations of Honam-woodo-nongak Pangut : Focused on Ethnography of Performing Text of Honam-woodo-nongak Pangut

양옥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s is a analysis of three kinds of materials of Pangut(판굿) of Honam-woodo-nongak(호남우도농악) recorded in the 1967, 1980, 2004 on the view point of ethnography of performing 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sing structuring of Gurree(거리) and Julcha(절차),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se three kinds of materials. The Gurrees of Pangut of Honam-woodo-nongak in the 1967 are composed of 8-units ; Nendrm-Jilgut-gurree(내드림질굿거리), Ochae-jilgut-gurree(오채질굿거리), Obangjin-gut-gurree (오방진굿거리), Hoho-gut-gurree(호호굿거리), Ilkwangnori-gurree(일광놀이거리), Kunyongnorigurree( 군영놀이거리), Dodukjaebi-gurree(도둑잽이거리), Talbok-gut-gurree(탈복굿거리). One gurree is composed of Julchas of 2-units~7-units. And the 8-units of Gurrees are composed of 27-units of Julchas. The 8-units of Gurrees are divided into two Gut-gurrees, Ab-gut and Dwit-gut on the material in the 1967. The Gurrees of Pangut Honam-woodo-nongak in the 1980 are composed of 7-units; Erim-gut-gurree(어름굿거리), Ochae-jilgut-gurree, Obangjin-gut-gurree, Noraegut-gurree(노래 굿거리), Gujung-nori-gurree(구정놀이거리), Hoho-gut-gurree(호호굿거리), Talbok-gut-gurree. We can find eliminating of Dodukjaebi-gurree, reducing of many kinds of Julchas of part of Dwitgut on the material in the 1980. The Pangut of Honam-woodo-nong-ak in the 2004 are composed of 3-units ; Ibjang-gut(입 장굿), Madang-gut(마당굿), Teujang-gut(퇴장굿). Ibjang-gut is composed of Naedrm-gutgurree, Insa-gut-gurree. Madang-gut is composed of 7-units, seven kinds of Madangs; first-madang(Ochae-jilgut-gurree), second-madang(Obangjin-gut-gurree), third-madang(Poongnyngut- gurree), forth-madang(Dumachi-gut-gurree), fifth-madang(Hoho-gut-gurree), sixth-madang (Ilkwang-nori-gurree, Dodukjaebi-gurree), seventh-madang(Gaein-nori-gut-gurree). Teujang-gut is composed of Teujang-gut-gurree. There are many kinds of variations on Pangut of Honam-woodo-nongak in the 2004; Pangut divided into 3-units, beginning-middles-ending. the middles divided into 7-units, 7-Madangs, each Madang is composed of one or two Gurree. The song of Norae-gut-gurree changed from Wurlsenga into Nongbuga. Dumachi-gut-gurree is added to Pangut. Ilkwang-nori-gurree and Dodukjaebi-gurree are integrated to one unit, sixth-madang. Gaein-nori-gut-gurree is located in ending part of the middles. And there are some kinds of variation; change of position of each Gurree, change of ending method, change of structure of Jangdan. These kinds of variations on the Honam-woodo-nongak in the 2004 reflect modern style of western performing arts in Korean Poongmulgut/Nonak, especially Honam-woodo-nongak.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1967년, 1980년, 2004년도에 각각 기록된 호남우도농악 판굿 공연 자료의 맥락과 공연 구조를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발생한 우도농악의 변이 양상에 대한 규정과 해석을 위한 실증적인 논점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1967년도 호남우도농악 판굿의 ‘거리’들은 내드림질굿거리, 오채질굿거리, 오방진굿거리, 호호굿거 리, 일광놀이거리, 군영놀이거리, 도둑잽이거리, 탈복굿거리 등의 8개 거리로 구성된다. 이 하나의 ‘거 리’는 2~7개의 ‘절차’ 단위들로 구성되며, 이 8개의 거리들은 27개의 ‘절차’로 구성된다. 그리고 8개의 ‘거리’ 단위들은 2개의 굿거리 곧 ‘앞굿’과 ‘뒷굿’으로 나누어진다. 1980년 호남우도농악 판굿의 ‘거리’들은 총 7개의 하위 단위들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어름굿거리, 오채질굿거리, 오방진굿거리, 노래굿거리, 구정놀이거리, 호호굿거리, 탈복굿거리 등이 그것이다. 우리 는 이 자료에서 도둑잽이거리의 생략, ‘뒷굿’ 부분에서의 여러 가지 거리들의 생략 등을 발견할 수 있다. 2004년 호남우도농악 판굿은 먼저 3개 단위 곧 입장굿, 마당굿, 퇴장굿의 3개 단위로 구분된다. 이 중에 처음 부분인 입장굿은 내드림굿거리, 인사굿거리로 이루어진다. 중간 부분인 마당굿은 7개의 단위 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첫째마당(오채질굿거리), 둘째마당(오방진굿거리), 셋째마당(풍년굿거리), 다섯 째마당(호호굿거리), 여섯째마당(알광놀이거리, 도둑잽이거리), 일곱째마당(개인놀이거) 등이다. 퇴장굿 은 퇴장굿거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2004년도 호남우도농악의 판굿에는 많은 종류의 변이들이 나타난다. 즉, 판굿을 먼저 ‘처음-중 간-끝’의 종결구조로 나누었다. 이 중의 중간 부분을 7개의 하위 단위 곧 7개의 ‘마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마당’은 다시 1~2개의 ‘거리’로 나누었다. ‘노래굿거리’의 노래를 ‘월선가’에서 ‘농부가’로 바꾸었다. 두마치굿거리가 추가되었다. 일광놀이거리와 도둑잽이거리가 하나의 마당, 곧 여섯째마당으 로 통합되었다. 개인놀이가 중간부분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게 된다. 이 외에도, 2004년도 자료에서는 각 거리의 위치 변화, 새로운 거리 구성 및 일부 가락의 장단구조적 변화 등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호남 우도농악 판굿 공연자료에 나타나는 변이들은 시대적 배경과 공연주체와 공연예술 양식 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향후 판굿 공연 양식의 가장 기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음악, 춤, 놀이, 연극 등의 예술 구성요소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거쳐 양식적 변이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음악사회학 또는 음악인류학적 관점에서의 종합적 해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우도농악 판굿의 주요 공연자료
  1. 1967년 우도농악 판굿 음원자료
  2. 1980년 우도농악 판굿 음원자료
  3. 2004년 정읍 우도농악 판굿 영상자료
 Ⅲ. 자료에 기록된 판굿의 거리ㆍ절차ㆍ가락 구성
  1. 1967년 우도농악 판굿 음원 자료
  2. 1980년 우도농악 판굿 음원자료
  3. 2004년 정읍 우도농악 영상자료
 Ⅳ. 자료간 상이점에 대한 종합적 검토
 Ⅴ. 우도농악 판굿 공연자료의 시대적 연구 가능성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옥경 Yang, Ok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