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무용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담론

1920년대 러시아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무용사적 의미 : 디아스포라 문화연구의 관점으로

원문정보

The Significance of the performances of the Korean-Russian art troupe in the Korean Dance History in the 1920s :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Diaspora Cultural Studies

양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bout the performances of Korean immigrant art troupe, from Russia’s Vladivostok maritime province (Yonhaeju : Prismorsky Krai), that visited Korea in the early 1920s. Initially the performances aimed to raise funds to build churches and help Koreans in Russia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prolonged droughts and the civil war in the aftermath of the Russian Revolution. However, the performances gained nationwide popularity, introducing Western folk music and dancing to Korea, which became the driving force in spreading a dance craze throughout the country. These performanc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ance, best exemplified by Cho Taek-Won who was first introduced to modern dance by the troupe’s performances and who became one of three new dance (Shinmuyong) pioneers. It is rare in the field of Diaspora Studies that cultural influences come from the outside the mother country, as in the case of the Korean-Russian art troupe. Thi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spora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troupe as they were caught between Russia’s civil war, in the period after the 1917 Revolution through 1922, and Korea under occupation by imperial Japan)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erformances o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ance, through analysis of performance activities and structures, member composition, the role of major leaders, and the troupe’s repertory of performanc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Korean Diaspora in Russia Like Lee Kang, Han Yong-Hun and Kwak Byuing-Gyu, the leaders of the Korean art troupe in Russia were leaders of the religious communit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Most of them were non-professionals and each group had a small number of members. Their art form followed “Estrada,” a typical people’s performing art which were popular folk dance touring performances in Russia at the time. In the history of modern dance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e performances of the Korean immigrant art troupe from Russia is as follows. First, as the initial overseas Korean performing arts group, they inspired Koreans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overseas Koreans through the promotion of their visit to Korea; they helped build a national identity across borders. Secondly, this art troupe, as part of the Korean Diaspora, became a cultural bridge between people in Korea and Koreans in Russia. Lastly, the art troupe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performances were forced to stop, for political reasons, by the birth of the Soviet Union on December 30, 1922.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and library research, field surveys, including existing literature in the National Russian Library of East Asian Literature, materials made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ept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Dong-A Ilbo, Mae-il Shinnbo, and Sunbong, the Korean newspaper published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한국어

본 논문은 1920년대 초 러시아 연해주 한인예술단의 내한공연에 관한 연구이다. 1921년~1922년 3차례에 걸쳐 내한한 러시아한인예술단의 표면적인 방문 목적은 계속되는 가뭄과 사회주의 혁명이후 전쟁으로 어려워진 연해주 한인들의 구제와 교당 건축기금의 모금이었다. 이들의 내한공연은 전국적인 인기를 누리며 우리사회에 서양민속춤과 음악의 유입, 무도열풍으로 인한 춤의 대중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리고 당시 신무용 3인방으로 꼽히는 조택원이 춤에 입문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한국 근대무용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러시아한인예술단처럼 디아스포라의 문화가 모국의 문화에 영향을 끼 친 경우는 디아스포라의 문화연구에서 매우 이례적이며, 그것이 공연예술 활동이었기에 그 파급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문화연구 관점에서 1917년 사회주의혁명이후~1922년까지 내전 중이 던 러시아와 당시 일제강점기에 놓였던 우리사회의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해삼위 러시아한인예 술단의 활동과 단원구성 및 주요 인물분석, 공연형식, 공연레퍼토리 분석을 통해서 그 성격과 특징 무 용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이는 동시에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를 다각적으 로 조망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러시아한인예술단의 단장인 이강, 한용헌, 곽병규는 당대 연해주 사회의 종교계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가들로 이들의 내한공연이 독립운동의 일환이라는 추측을 배재하기 어렵다. 단원 대부분이 비전문 인으로 소인예술단 형태이다. 공연형식은 당시 러시아에서 유행하던 민중공연예술형식인 에스트라다 순회공연형식을 취하고 있다. 1920년대 러시아한인예술단의 내한공연은 다음과 같은 무용사적 의미를 갖는다. 첫째, 최초의 재외 한인예술단으로서 초국가적인 민족정체성 형성의 기폭제역할을 했다. 둘째, 러시아에 거주하는 한인 디아스포라로 문화를 전달하는 문화적 중개인이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비밀 독립운동의 조력자 역 할을 했다. 그러나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의 탄생으로 이들의 내한공연은 계속될 수 없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현지조사, 러시아 극동국립문서보관소(РГИА ДВ),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일본 외무성 사료와 <동아일보>, <매일신보> 그리고 연해주에서 발행된 한인 신문 <선봉>의 기사를 분석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20세기 초 러시아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사회와 문화
  1.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
  2.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
 Ⅲ. 러시아한인예술단의 내한공연 분석
  1. 방문목적
  2. 단원 구성 및 주요 인물 분석
  3. 공연작품과 그 특징
  4. 내한공연의 성과와 그 원인
  5. 내한공연의 무용사적 의미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민아 Yang, Mina.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