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consider Korean Dance Creation through Perspective of Dance History : Focused on the Features of Dances in Late Joseon period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heme ‘creation’ with the focus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At first, the problems in the creation of existing Korean da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creative factors lacking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oriented concept of creation was critically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awareness on the difference of artistic concept between eastern and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creation was discussed in the transmission history of dances. Next,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the traditional dance was presented. It includes the formation of lines and surfaces through principle of circulation, the formation of dance styles based on the traditional breath method, the approach to interpret rhythms and the application of steps. In conclusion, the events inducing the creation of traditional dances were identified and presented in the ancient literature.
한국어
본고는 서구 중심의 새로움을 추구하는 무대에서 한국춤 창작에 있어서 가져야 할 덕목이 무엇일까 에 대한 의구심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는 이내 한국춤 창작에 대한 전면적 재고의 필요함으로 이어 졌다. 그래서 무용사 관점에서 한국춤 창작에 대해 재고하고 이를 근거로 창작의 준거틀을 제시했다. 우선, 기존 무용사에서 한국춤 창작연구를 살폈다. 이를 통해, 기존연구들의 문제점을 도출했다. 이 는 첫째, 개체적 특수성이 결여된 창작요소가 제시되어 있다는 점이며 둘째, 서구 중심의 창작개념이 유입되었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문제점은 현재까지의 무용연구에서 이렇다 할 자기성찰과 반성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동서양 예술개념의 차이를 바탕으로 동양예술의 특징인 전승 안의 창작개념에 대해 논의하고, 이 점이 한국춤에도 동일하게 대입됨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무용연구 와 창작춤에 새롭게 개진되어야 할, 전통춤 창작의 준거틀을 제시했다. 순환원리를 통한 면과 선의 형 성, 전통호흡법을 근간으로 한 춤사위 형성, 장단해석 방식과 디딤의 사용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바탕으로, 무용사 중 전통춤 창작이 발현되는 예를 전통사회 기록 안에서 추출 하여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전통춤이 주체적 창작개념을 함유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무용사 관점의 한국춤 창작 특성 재고
1. 선행 제시된 한국춤 창작요소
2. 서구 중심 창작개념 유입
3. 동ㆍ서양 예술개념의 차이
4. 동양예술 창작 특성
Ⅲ. 전통춤 창작의 준거틀
1. 순환원리를 통한 면, 선의 형성
2. 전통 호흡법을 통한 춤사위 형성
3. 전(前) 박으로 시작되는 첫 박 디딤
Ⅳ. 조선후기 춤 창작 발현
1. 전통사회 연행자 창작인식
2. 전통사회 춤 창작 양상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