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내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issues in 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es in China

李海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views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Korea-China in China,focusing on most recent publication for the last 10 years including Ph.D thesesand published academic journals, in particular three main themes in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Classic Literature,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magelogy (比较文学形象学). For comparative researches on Korea-China classics, there are only two (2)Ph.D theses fo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journals for the same period. Almost all of these papers were written by Chineseliterature majors who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This also implies composition of 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inChina. For master program, there are abou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n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those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However, in Ph.D program, there are only a few ofthose who major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Korean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consider for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raining nextgeneration.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ose who major in Chinese Literature aftergraduating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re interested in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China classic literatures. However, weshould not overlook the following two (2) issues: its intention of consideringChosun Chinese Classics as an outside Chinese Classics, as a way of meltingthose into Sino centrism. Another is the fact that they cannot translate Koreanalthough their capacity of translating old Chinese scripture is outstanding. This means that they cannot understand and refer to the works of Koreanscholars. This also can be used as a tool to form a distorted/biased view. To preventit,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outstanding works of Korean scholars intoChinese, to spread the works to Chinese academic circles. As an example of making efforts in translating/propagating academicresearch outcomes, ‘Series of Korea Research Center in Ocean University ofChina’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 and China, which was carriedout by Project Management Unit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 Also,it needs to pay attention to ‘中华学术外译’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byChinese Government since 2011. For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China modern literatures, there area number of academic thes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D thesis. Most ofthem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Gyeong Ae GANG andthose of Hong SO. Others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Gyeong Ae GANG,Hong SO, Ryeong JEONG, etc. There have been much works produced in the subject of the comparison ofKorea-China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s. However, there has beenalmost none of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done that reflectedfeminism.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done aboutliterature at the turning point to modern period (Jingeon Hyeon, Dalbu UK,Shin RHO, Gwangsoo Yi), Gecho YANG’s literary ideology, and the relationbetween literature views. Authors ar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Chinese scholars whomajored in Korean Literature in China, Chinese scholars who majored inChinese Literature, Korea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etc. Inparticular, Chinese scholars who either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Korean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have produced in-depthanalysis and research papers in target language literature. However, withoutcomprehensive studies and understanding on their own literature, it seems notto progress further in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Even those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in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originalscript and understanding the works of Korean researchers. For studies on Imagelogy of 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it has drawn enormous attention from Chinese academic circles, particularly focusingon travel essay. For the same reason, there are a number of thesis and papersproduced recently. However, similar to the comparative study on Korea- ChinaClassical Literature, Chinese researchers do not understand Koreans wellalthough their understanding on Chinese Literature and Department of Historyis highly advanced, particularly on original script of old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ir understanding is limited not utilizing excellent data fromKorean researchers.

한국어

본고는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의 중요한 3대 영역인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 비 교문학 형상학(比较文学形象学)연구 등 세 영역에 거쳐 최근 10년간 산출된저서, 박사학위논문, 주요학술지 게재논문 등을 중심으로,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에 대해살펴보았다.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의 경우 최근 10년간 박사학위논문은 2 편뿐으로 매우 저조하며 주요 학술지 논문은 적 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요 학술지 논문은 거의 대부분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는 역으로 중국내, 한국문학 전공자들의 분포상황을보여주고 있는데, 석사학위 과정의 경우 한국고전문학 전공자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의 비율이 비슷하나, 박사학위과정에서는 한국고전문학전공자가 한국근현대 문학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보여준다. 향후 중국내, 한국문학 학문후속세대 육성에서 보다 균 형적인발전을 위해 유의해야할 부분이다.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전공자들이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매우고무적인 일이나, 그 럼에도 우리는 결코 두 가지 측면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나는그들이 조선한문학을 역외한문학의 시 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은연중 논문 속에 중화중심주의사상이 녹아들게 되는 부분이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비 록 우수한 고한문 해독능력을 가지고있음으로 하여 원전해독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나, 한국어 해독이 불 가능함으로 하여 한국 고전문학 내지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한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읽을 수 없고 참조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이는 자칫 그들로 하여금 편향되고 왜곡된 시각을갖게 하는 위험 요 소이기도 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자들의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 학계에 전파하는 일이 매우 중대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이러한 학술성과들의 번역과 전파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는 일례로는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중핵대학사업단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 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총서의 한중양국에서의 동시 출간이다. 또한 중국정부가 2011년부터 의욕적으로 추 진하고있는 中华学术外译 프로젝트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의 경우는 우수한 저서들과 함께 박사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 논문들이 다양한 분야 에 거쳐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제별로 강경애와 소홍에 대한 비교가 압도적으로 많은 양을 차지했으며 그 외 강경애, 소홍, 정령 등에 대한 비교연구도 진행되었다. 한중 근현대 여성문학에 대한 비교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폐미니즘 이론을 적용한 깊이 있는비교 연구는 아직 산출되지 못하고 있다. 현진건과 욱달부, 노신과 이광수, 한국 근대전환기문학 내지 신소설에 대한 양계초 문 학사상과 문학관의 영향관계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다. 저자들로는 중국의 한국문학전 공자 출신,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 등 다양한 부류가 있 다.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와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의 경우, 목표어 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상당히 깊이 있게 진행해왔지만 역으로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하여 보다 밀도 있는 심층적인 비교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의 경 우는 작품 원문해독과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에 대한 해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중비교문학 형상학 연구의 경우는 현재 연행록을 중심으로 중국학계의 폭발적인 관심과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량의 논문이 산출되고 있다. 그러나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중문과 내지 사학과 출신 학자들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한문 원문 해독능력을 갖고 있지만, 한국어 해독능력을 갖고 있지 못 함으로 하여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참고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중국에서의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가능성과 필요성
 2. 중국에서의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
 3. 중국에서의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
 4. 중국에서의 한중비교문학 형상학 연구
 5. 중국에서의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李海英 이해영.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어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