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ID 기법 적용에 따른 물순환 효과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ID Techniques

이정민, 이윤상, 최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present, the development in rainwater management approach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numerous adverse effects ofurbanization. Storm water management is being developed to restore the natural state of water cycle undergoing severalprocesses which were hindered such as infiltration and evapotranspiration. Low Impact Development (LID) was established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urbanization to our environment. These developments can be used to respond to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such as heat island phenomenon.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new town in the districtplan with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were studied and reported. Typically, LID facilities were applied in small scaledevelopment and were rarely used in large-scale development. Most of studies, however, did not assessment the effects of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with LID application to the natural water cyc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imulate theurban hydrologic cycle simulation on Asan-Tangjeong in Korea. This study may be used in urban hydrologic cyclesimul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urban water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Lastly, this study generated a model usingthe recently updated SWMM5 which determined the hydrologic cycle simulation after installation of LID facilities.

한국어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빗물을 빨리 그리고 많이 집수하여 배수하는 중앙 집중식 빗물관리 방식을 취하면서 도시 환경에많은 악영향을 미쳐왔다. 이제는 개발 이전의 자연 상태에 최대한 근접하는 빗물 침투와 증발산이 이루어지도록 발생원에서 분산형으로 빗물을 관리하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저영향개발(LID; LowImpact Development)기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자연 순응형 빗물관리에 따라 개발로 인한 유출량 저감, 열섬 현상 저감 등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도시 조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도시 개발 지구 등에서 LID 시설의 적용 계획에 따른 물순환 영향 연구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다만, 단지나 신도시와 같이 대규모 개발 부지에서 LID 시설과 기법을개발 초기부터 계획, 설계하여 적용한 사례가 거의 없다. 또한, 대규모 개발 사업의 LID 적용 계획에 따른 물순환 복원효과 예측과 실제 적용 후 물순환 복원 효과를 연구한 사례도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개발 부지에 계획한 아산 탕정 LID 물순환 시범도시의 물순환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개발에 따른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도시 물관리 계획 패러다임의 변화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도시 물순환 개선효과 모의는 최근 EPA(United States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환경보호국)에서 LID 시설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개발한 SWMM5 모형을 이용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SWMM5 모형의 개요
  2.2 연구대상유역 현황
  2.3 SWMM5 모형의 구축
 3. 결과 및 고찰
  3.1 장재천 유역의 유출모니터링 결과 및 SWMM5 모형 보정
  3.3 LID 기법 적용에 다른 우수유출 저감 효과 및 물순환 개선효과 분석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정민 Lee, Jungmi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이윤상 Lee Yun Sang.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최종수 Choi, Jongs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