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it was not an overstatement that awe for Confucius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s prevailed all across paintings, as 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religion. In particular, though the literary painting in the Joseon era had been influenced from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in China or related Wupai literary painting in terms of style and formativeness and also influenced evenly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erms of thoughts, it created its unique painting style in which Confucian ideas were inherent. When we look into the base of it, we find out first the “Mun-Jil-Bin-Bin(文質 彬彬)” aesthetics. According to Confucius, “When “Jil(質)” that is a content or a theoretical base of a picture comes before “Mun(文)” that is a style or an expression of a picture, the picture becomes rough. When “Mun” comes before “Jil”, it becomes vanity. Only when Mun and Jil become harmonized together, you may be called a Gunja(a noble man).” It meant that contents and splendid colors must be harmonized each other in a picture. It may be referred to Jung-Yong or Jung-Hwa in Confucianism. Therefore, thought of painting in Confucianism is also related with Jung-Yong. According to Confucius’ thought about picture, when you like a picture, you must know the true meaning of the picture and be pleased with it. For that purpose, a painter should make an appreciator feel pleasure, and the pleasure should give the appreciator an emotion to lead him to understanding of a deep world. From that point of view, Confucius told that a painter should reach a proper harmonization of Mi-Jil(美質) and Mun-Chae(文彩). The literary painters in the Joseon era kept basically in their mind Sunbi Spirit(Classical Scholar’s Spirit) and elegant dignity as their signifiers, placed Sin-Un(神韻) ahead of Hyung-Sa(形似), sought sentiment of Pil -Muk(pen and ink), and gave attention to expression of Ui-Kyung(意境) by means of Su-Muk(水墨) or Sa -Ui(寫意) in a picture. However, because Hwa-Jung-Ui-Kyung(畵中意境) could be finally delivered through the picture, Mun and Jil must not lose the balance, leaning to neither of them. This Confucius’ thought of painting around Mun-Jil-Bin-Bin(文質彬彬) seem to be in line with Hoe-Sa-Hu- So(繪事後素) which is considered in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painting in the Joseon era. The literary painters in the Joseon era often didn’t reach skillfulness in terms of technic because the literary person, or the Sadaebu(the noble men), often enjoyed painting pictures as a hobby for spare time. However, thanks to their diverse knowledge learned by study and high level of refinement, they reached higher level in terms of dignity rather than professional painter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literary pictures in the late Joseon era, there were many pictures to express a painter’s mind and sentiment using poet(詩), calligraphy(書), and painting(畵). In short, it was natural that Confucian thought of Mun-Jil-Bin- Bin permeated their pictures, because they could express the meanings only when Mun and Jil were harmonized each other. To sum up, Confucius’aesthetics of Mun-Jil-Bin-Bi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terary painting theory in the Joseon era, and it has had great influence as much as we can find its relationship with the art education theory in Korea in the modern time.
한국어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교로 한 만큼 공자에 대한 경외심과 사상적 의미가 회화 전반에 걸쳐 존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조선시대의 문인화는 화풍이나 조형성에 있어서는 중국의 남종화나 그 맥을 잇고 있는 오파계 문인화의 영향을 받고, 사상적으로는 유교, 불교, 도가사상이 고루 영향을 받았지만, 특히 유교적 의미 가 내재된 독자적인 화풍을 만들어내었다. 그 근간을 살펴보면 바로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을 들 수 있다. 공자는 미에 대해, “질(質), 회화 내용 혹은 이론적 바탕이 문(文), 즉 문채(文彩) 혹은 표현보다 앞서면 거칠어 지고, 문(文)이 질(質)보다 앞서면 겉치레가 된다. 문과 질이 다 같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난 후에 군자라고 할 수 있다(質勝文則也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이는 회화에 있어서 화려한 색채와 회화의 내용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유교에서 중용 또는 중화라고 하는데, 그래서 유교의 회화사상은 중 용사상과도 관련이 있다. 공자의 회화관은 그림을 좋아하면 반드시 그 속에 있는 진의를 알고 즐거워해야 한 다고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화가는 감상자로 하여금 희열을 느끼게 하고, 그 희열은 깊은 세계를 깨닫게 하는 감정을 주어야 한다. 이런 의미로 공자는 화가가 미질(美質)과 문채(文彩)가 잘 융화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문인화가들은 기본적으로 선비 정신과 고아한 품격을 기표로 삼아 형사(形似)보다 신운(神韻)을 강조하고 필 묵의 정취를 강구하면서, 수묵, 사의(寫意) 등의 기법을 통하여 그림 속에 의경(意境)을 표현하는 데 주목하였 지만, 결국 화중의경(畵中意境)은 그림을 통해서 그 뜻을 전달하기 때문에 문과 질이 어느 곳으로도 치우치면 안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자의 문질빈빈에 대한 회화관은 회사후소(繪事後素)와도 그 뜻을 같이 하는데, 조선시대 문인화 의 특징과 관계가 깊다고 본다. 조선시대 문인화는 비록 직업화가들이 아닌 문인 사대부들이 여기(餘技)로 그 려 기교면에서는 비록 숙달되지 못했지만 학문을 통해 익힌 다양한 지식과 높은 교양 수준으로 격조면에서는 오히려 직업화가들보다 더 높은 경지에 이르고 있다. 특히 조선 후기 문인화를 보면 시, 서, 화로써 작가의 뜻 과 마음을 표현한 그림이 많은데, 요컨대 문과 질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그 뜻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림 속에는 공자의 문질빈빈 사상이 스며들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은 조선시대의 문인화론과 관련이 깊으며, 이러한 영향은 현대 우리나라 미술 교육 이론과도 그 관련성을 찾아볼 정도로 영향이 크다 하겠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공자의 문질빈빈(文質彬彬) 심미관
1. 문질빈빈의 의미와 중용적 조화관
2. 회사후소(繪事後素)와의 동질성
3. 지극한 이치로써 유(遊)
Ⅲ. ‘文’과 ‘質’ 융합적 조선시대 문인화론
1. ‘文’으로서 기교주의 거부
2. ‘質’로서 士氣와 도덕적 가치관 추구
3. ‘文質彬彬’으로서 중용적 융합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