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歷代名畵記』에 나타난 장언원의 畵觀 -『書譜』,『書斷』이 장언원의 畵觀에 미친 영향 -

원문정보

Zhang Yanyuan張彦遠‘s perspective on paintings presented in the book of Lidai Minghua Ji 歷代名畫記, “The Record of Famous Painters of all Past Dynasties in China”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viewpoints on calligraphy expressed in the books of Shupu 書譜, "Pedigree of Calligraphy" and Shuduan 書斷, "Judgement on Calligraphy." -

『역대명화기』에 나타난 장언원의 화관 -『서보』,『서단』이 장언원의 화관에 미친 영향 -

김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hu 書, calligraphy, and hua 畵, painting, and its meaning, based on the ideas of shuhuatongti 書畵同體, painting and calligraphy are one body, and pindeng 品等, quality and grade, which Zhang Yanyuan of the Tang Dynasty presented in the books of Lidai Minghua Ji and Xuhua zhi Yuanliu 敘畫之源流, the origin of paintings, while setting hetu 河圖 and leshu 洛書, early forms of hua and shu in China as the ground of his argument. Lidai Minghua Ji talks about the theory of painting that adjusted the theory of calligraphy whose systemization had been begun in the Han Dynasty and was established in the Wei-Jin Era to the aesthetic trend of the Tang Dynasty that put high value on rules and regulation, in a wish to elevate the status of painting that had not fully brushed off the stigma of being mere skills still, back then, to that of calligraphy. Zhang Yanyuan's painting perspective can be summarized into two, theories of shuhuatongti and pindeng. The former means that painting and calligraphy share one common origin, and the latter denotes that the top quality and grade of Mother Nature in calligraphy is adopted for the purpose of paining.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ic aesthetic during the Tang Dynasty, a couple of figures stand out. Sun Guoting 孫過庭, one of the two, collected virtually all aesthetic ideologies and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aesthetics in China. The other, Zhang Huaiguan張懷瓘, represented the calligraphic vogue of the Tang Dynasty, putting emphasis on majestic beauty. The author of this paper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idai Minghua Ji and Shupu of Sun Guoting and Shuduan of Zhang Huaiguan and, then, logically reasons that Zhang Yanyuan's two aesthetic viewpoints are constructed on the following ideas;First, the shuhuatongti perspective that integrated identities of shu and hua in the historical context responded to the call of the times when various arts fields were in fashion of formulating principles and rules. This was due to that the Tang Dynasty was founded on the values of rules and regulations, completing their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area of calligraphic aesthetics that had been originally initiated during the Wei-Jin Era. Zhang Yanyuan would have wished to enhance the status of painting perspective that was not on a solid basis, by applying that of calligraphy already stabilized to it. Second, Mother Nature as the ultimate level of quality and grade in terms of the quality of calligraphy wa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the quality of painting, after being given the highest position by the pindeng perspective. The introduction reconfirmed the historically consistent idea that shu and hua were one, even evidenced by shuhuayongbifa 書畵用筆同法, the same use of calligraphic brush pens of the two. This approach can be understood to have presented a novel viewpoint of painting.

한국어

중국 서화의 발생 초기단계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원류를 두고 당시대唐時代의 장언원이『역대명화기歷代 名畵記』「서화지원류敍畵之源流」에서 제기한 서화동체書畵同體와 품등品等에 대한 내용을 서관書觀과의 관계성을 가지고 정리해 보고자 한다. 『역대명화기』는 한 대 부터 체계화가 진행되기 시작하여 위진시기를 거치면서 당대에 서예의 법체계를 완성하였고, 이러한 서법의 완성된 체계는 규율과 법칙을 숭상하는 당대의 미학적 경향에 맞추어 회화론에도 적용함으로써 당시까지 기예라는 오명을 완전히 떨쳐버리지 못한 회화의 위상을 서예의 위치로 제고하고자 하였다. 장언원의 화관畵觀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서화동체론書畵同體論과 다른 하나는 품등론品等論이다. 회화의 기원이 글씨와 같다고 보는 견해와 서예에서 최고 표준의 품등인 자연품등을 회화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 견해이다. 당시대 서예미학 발전과정 중 관건이 되는 두 사람이 있다. 손과정은 미학사상을 총결 집대성했으며, 장회관 은 장엄미를 숭상하며 당시대 서풍을 대표했다. 필자는 장언원의 두 가지 견해인 서화동체론의 역사적 배경과 품등론의 미학적 배경을 손과정의『서보書譜』 와 장회관의『서단書斷』에서 찾고자한다. 본고에서는 『서보』와 『서단』은 장언원의 畵觀에 영향을 미쳤 으리라고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자 한다. 첫째, 서예와 화畵의 역사적인 동일성을 통합한 서화동체書畵同體의 관점은 당시대가 법法을 숭상하는 시대 적인 특징을 안고 발전하였으므로 모든 예술영역에서 일종의 법도法道를 세우려는 요구가 있었다. 서예미학 은 위진시대 부터 시작하여 줄곧 규율과 법칙을 모색하면서 당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그 규율과 법칙이 확립되 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장언원은 법도가 확립된 서관書觀을 통해 규율과 법칙이 확립되지 않은 화관畵觀 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품등론品等論의 관점에서는 ‘자연自然’을 최고가치 품등으로 놓고, 서품書品에서의 최고 품등品等인 ‘자 연自然’을 화품畵品에 채용함으로써 서화書畵가 동체同體라는 역사적인 일관성을 창작의 방법적 측면에서 서 화용필동법書畵用筆同法이라고 재차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새로운 화관畵觀을 구축시켰다고 볼 수 있겠 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장언원의 화관
  1. 서화동체론書畵同體論
  2. 품등론品等論
 Ⅲ.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아 Kim, Eun-A.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