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Brand Love의 측정에 관한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Measurement of Brand Love

박영근, 박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rand Love’ measurement tool utilized in previous domestic studies is identical to that of foreign stud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cultural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properly measure a special variable known as 'Love', it is the goal of this Study to develop a reliable Korean measurement tool of 'Brand Love' through discussions and empirical studies of those measurement tools used in previous surveys.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an empirical study'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program was used, including 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homoscedasticity analysis, inter-item consist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alpha was us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hile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data. t-test an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homoscedasticity of the data,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item consistency of the data.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a good level of reliability, validity, homoscedasticity and inter-item consistency. The result of such data analyses showed that those measurement tools used in previous studies did not break down the data per their originally designed purposes in domestic studies. As such,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and used in this study, which purpose is to explain Brand Love, is more appropriate for being the Korean measurement tool. The seven ques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to measure Brand Love all display a significant amount of appropriateness when explaining the constructed notion of Brand Love, while, simultaneously, the questions all come together as a single factor. Thus,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the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is the appropriate Korean measurement tool that is used to measure Brand Love.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연구들의 Brand Love에 관한 측정문항 및 척도가 해외문헌의 측정문항과 척도를 그대로 사용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사랑’이라는 특수한 변수의 측정을 위해서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기존 문헌들의 측정항목을 논의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Brand Love의 측정도구로 신뢰할 수 있는 한 국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분석을 실 시하였으며, 척도화 가정을 위한 등분산성 확인, 문항 내적 일치도 확인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들의 측정도구는 국내 조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설계되었던 요인대로 분석되지 않아 Brand Love를 설명하기 위한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 비해 한국적 측정도구로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본 연구 에서 한 Brand Love의 측정문항 7가지는 모두 하나의 구성개념인 Brand Love를 설명하는데 유의한 타당도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요인으로 묶여져 Brand Love를 측정하는 한국적 측정도구로 적합하다고 판단 되었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고찰
  1. Brand Love의 개념
  2. 사랑(Love)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Brand Love
  3. 선행연구
 연구방법
  1. 자료수집방법
  2. 분석방법
 분석결과
  1. 척도화 가정에 대한 검정
  2. 요인분석
  3. 신뢰도 계수
  4. 최종 확정된 한국형 Brand Love요인 측정도구
  5. 추가분석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근 Park, Young Keun. 창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박재진 Park, Jae Jin. 창원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