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안 천황사 목조삼세불좌상과 조각승 마일

원문정보

The Seated Image of Wooden Three Buddha at Chonwhangsa Temple in Jinan and The Monk Sculptor, Mile

최윤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eated image of Wooden Three Buddha built in 1680 has been enshrined in the precious hall of Chonwhangsa Temple at Jinan-gun, Jeollabuk-do. Even though the Seated image of Samjonbul reflects the mode of Buddhist statue of Hyehui, it has the high affinity with the statue of Buddha Triad created by Mile at Chiljangsa Temple and Eunhasa Temple. Hence,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style and the body proportion for the statue of the Buddha created by Mile and presumed piece of 11 cases and 18 works, the style of Hyehui forms the main in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Beopjusa Temple, but the distinctive style of Mile has been identified in other statues of the Buddha. The statue of the Buddha of Mile has the big head and the wide width of face compared to the whole size. 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tyle of monk sculptor in the same period of time is shown such as the big clothes draped around the right shoulder slightly with exposing the armpit, the protruded mouth, the skirt of large clothes folded like the edge of knife or folded in S charter type, the wrinkle of deeply sculpted and spread big angle, etc. Accordingly, the statue of Buddhas of Samsebul at Chonwhangsa Temple and the statue of Buddha at Bonggoksa Temple show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body proportion are assumed to have been built by Mile. Accordingly, the statue of Buddhas of Three Periods at Chonwhangsa Temple is the masterpiece built in the period the style of sculpture of Mile is established, the possibility that Mile belonged to the pedigree of Hyehui who succeeded the mode of Beopryeong is high. Mile is the monk sculptor occupying the big meaning in the Buddhist sculpture history in late Joseon Period in the point that Mile established the mode of his own by accepting the mode of sculpture of Buddhist statue in the 17th century, he has the effect on the mode of statue of the Buddha in the early phase of 18th century.

한국어

전북 진안군에 위치한 천황사 대웅전에는 1680년에 조성한 목조삼세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삼세불좌상은 혜희의 불상양식을 반영하고 있지만, 마일이 조성한 칠장사·은하사 삼존불상과 친연성이 높다. 이에 마일과 연관성이 있는 불상 11건 18점에 대해 양식과 신체비례를 분석한 결과, 법주사 관음보살상에서는 혜희의 양식 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그 밖의 불상에서는 마일의 독특한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일의 불 상은 전체 크기에 비해 머리가 크고 얼굴 폭이 넓다. 그리고 겨드랑이를 드러내며 오른쪽 어깨에 살짝 걸친 대 의, 튀어나온 입, 사선으로 뾰족하게 접거나 S자형으로 접은 하반신 옷자락 끝단, 펼친 각도가 크면서 깊게 조 각된 주름 등 같은 시기에 활동한 조각승의 양식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과 신체비를 보이는 천황사 삼세불상과 봉곡사 불상은 마일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마일의 불상양식은 17세기 중반 봉곡사 석가상에서 성립하고, 17세기 후반 천황사 삼세불상에서 정형 화되며, 칠장사 삼존불상에서 절정을 이루고, 은하사 삼존불상에서 형식화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문이 제작한 칠장사 지장보살상에서는 마일의 불상 양식이 엿보인다. 따라서 천황사 삼세불상은 마일의 조각양식 이 확립되어가는 시기에 조성한 작품이며, 마일은 법령의 양식을 계승한 혜희의 계보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마일의 불상 조각양식은 17세기 불상양식을 수용하여 자신의 독특한 양식을 확립하고, 18세기 초반 불상양식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I. 머리말
 II. 천황사 삼세불좌상의 양식 특징
  1. 천황사 연혁 및 삼세불좌상의 조성 배경
  2. 삼세불좌상의 양식 특징
 III. 조각승 마일의 계보 및 양식변천
  1. 마일의 계보와 불상양식
  2. 마일 作 불상의 양식변천 및 특징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윤숙 Choi, Yoon-sook. 한서대 대학원 문화재학과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