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공간 사유와 전유로서의 브랜드 공간

원문정보

Cogitation of Social Space and Brand Space by Appropriation

신혜원, 김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Brand (space)" is one of the products of modern society, being generated and disa ppeared continuously in the center of modern consumptio n life. Moreover, as a result of succeeding in economic an d cultural development, Korea has been changed the stat us from the importer of brand space to exporter of it. Th us, in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rand space, which is laid on daily life, sh ould not be a placelessness but be a true topophilia by int eraction between the principal agents and by practical ap propriation, being a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 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cused look. The range of this study is industrial brand and space br and, and this thesis is based on major preceding researc h: the theoy of Dialectical Theory of Space by Henri Lefe bvre and David Harvey, phenomenological place theory b y Yi-Fu Tuan and Edward Relph, and book of Interactio n and Sociological Aesthetics by Georg Simmel. These cognitions are based on the resources of "space-producti on" and "place-creation" of brand space, and the cognitio ns can be parallel structure by the principal agents, but have integrated clue for realizing brand space. The integr ated clues are followings. Frist, the brand space is both pluralistic and creative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pro vid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style, memory, locality, and cultural identity can be interacted each othe r. Second, the brand space is both usual and unusual exp eriential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us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action and activity can become topophilia. Third, the brand space is sharing and cultural appropriation and the space providers, intermediaries, and users can be interacted, These three aspects can be valua ble not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 strategy but fro m the viewpoint of appropriation. By this point of view, I expect, when K-culture has become populated and ‘new Korean wave 3.0’ has been emerged, this research to be at least a methodology to create a brand space where hu man beings are not alienated in modern industrial, urban society, but human begins can have complementary appr opriation of the space.

한국어

오늘날 사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산물이 ‘브랜드(공간)’ 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현대 사회의 소비의 중심에서 끊임없 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때로는 소멸된다. 게다가 한국은 급 성장한 경제 발전과 한류의 영향으로 종전의 브랜드(공간)의 수용자 측면에서 보급자 측면으로 그 입지가 바뀌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일상적, 공생적 관계에 놓인 브랜드 공간을 복 제된 잉여공간으로 파편화하거나, 마케팅 전략 위주로 바라 보기 보다는 사유를 통하여 참여하는 각각의 주체로서 상호 작용하고, 무장소성(Placelessness)이 아닌 토포필리아(Topo philia)의 장(場)으로써 전유(Appropriation)의 관점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산업 브랜드와 장소 브랜드이며, 선행 연구 의 배경은 르페브르와 하비의 ‘변증법적 공간론’, 투안과 렐프 의 ‘현상학적 장소론’, 짐멜의 ‘상호작용 문화론’으로 분석하 였다. 이러한 사유는 브랜드 공간의 ‘공간-생산하기’와 ‘장소-만들기’의 원천이 되며, 주체에 따른 병렬구조와, 맥락에 따 른 순환구조로 종합된다. 연구의 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생산의 수행자가 주체가 되는 실천으로서 양식, 기억, 지역성, 문화정체성 등이 상호 침투되는 다원적·창조적 전유이다. 둘째, 장소의 사용자가 주체가 되며, 장소에서의 현 상적이고 경험적인 행위와 활동은 곧 장소애(愛)로 이어지는 현상적·경험적 전유이다. 셋째, 수행자-매개자-사용자가 서 로 상호작용하는 공유적·문화적 전유이다. 이 세 가지 측면은 상업적인 전략 보다는 전유의 관점으로 접근될 때, 산업사회 와 도시사회에서 서로 소외되지 않으면서 상보적으로 나아가 는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K-Culture 신한류 3.0 시기’에 도래한 지금 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자산을 가진 브랜 드 공간의 생산에 있어서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공간, 사회, 브랜드
  2.1. 공간관 변화와 사회적 공간
  2.2. 브랜드 공간의 사회적 범주
  2.3. 주체적 전유로서의 브랜드 공간
 3. 사회적 공간의 열린 사유
  3.1. 르페브르와 하비의 변증법적 공간론
  3.2. 투안과 렐프의 현상학적 장소론
  3.3. 짐멜의 상호작용 문화론
 4. 브랜드 공간의 실천적 전유
  4.1. 공간생산을 위한 다원적·창조적 전유
  4.2. 장소애(愛)로서의 현상적·경험적 전유
  4.3. 상호작용을 통한 공유적·문화적 전유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혜원 Shin Hye Won. 홍익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 김주연 Kim Joo Yun.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