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업원의 직무불안정 지각이 부하의 저항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과 직무긴장의 매개효과 검증

원문정보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Job Insecurity on Subordinates' Resistance : A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용현주, 신이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lobal economic crisis has an affect to the corporate workers and the managerial environments of domestic enterprises. Also, these crisis have an affect to the employees and their work perform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ees' perception for job insecurity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On the base of the previous researches, it is assumed that employees’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have an affect to the subordinates’ dysfunctional responses and constructive resistance. We tried to examine those eff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on that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264 employees in the domestic firms. To test the hypothe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employees perceived their job insecurity in the organization. their career commitment could be fell down and the job strain could be rose up. Second, employees’ career commitment has an affect to both of constructive responses and dysfunctional resistance, but their job strain has an affect only to the dysfunctional resist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would be expres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job insecurity and their dysfunctional resistance. Forth, we couldn’t find any of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job stra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their constructive responses.

한국어

세계적 경제위기의 여파는 국내 기업들의 경영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기업의 조직구성원들 이나 조직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 지각이 경력몰입과 직 무긴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경력몰입과 직무긴장이 역기능적 부하행동과 건설적 부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불안정 지각이 역기능적 부하저항이나 건설적 부하행동으로 이 어질 때, 태도변수인 경력몰입과 직무긴장의 매개역할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기업 종사자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 분석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종업원이 직무불안정을 지각하였을 때는 경력몰입이 떨어지고 직무긴장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몰입은 건설적 부하저항과 역기능적 부하저항에 모두 영향을 미 쳤으나 직무긴장은 역기능적 부하저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불안정 지각이 구성원의 역기능적 부하저항으로 이어질 때, 경력몰입과 직무긴장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불안정 지각이 건설적 부하저항으로 이어질 때, 경력몰입과 직무긴장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직무불안정
  2. 직무불안정 지각과 태도와의 관계
  3. 태도와 부하저항의 관계
  4. 직무태도(경력몰입, 직무긴장)의 매개효과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3. 연구표본 및 자료수집
  4. 분석결과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용현주 Yong, Hyunju.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신이현 Shin, Yi Hyun.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