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적 소양과 시사영어 - 공동 수업설계와 운영

원문정보

‌Cultural Literacy and “Current Issues in English” -a Curricular Model by Teaching Community

강유나, 석진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present General English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and proposing a curricular model of "Current Issues in English"(CIE) to realize both liberal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education. A carefully-designed CIE model is needed especially because present standardized English courses are limited to communicate seriously about the world around college students. A CIE model could work for cultural education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who are equipped with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ready to raise their awareness of the text and its contexts. With instructors’ proper input in language and culture, students are expected to develop moderate level of cultural literacy. This paper examines a specific CIE course implemented in 2013, from its design to its fulfillment and the survey. In this course, a teaching community developed class materials together for the students who were shy and reluctant to express themselves. With various edited authentic materials from real world, educators helped learners improve their critical literacy toward the world and themselves. The review of the survey on this course indicates that students need more guidance from educators. Educators’ eagerness to teach more with better materials were highly appreciated by students. While the lack of eagerness from the learners’ part is regretful, more various trials from the educators are strongly encouraged.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 대학교양과정이 추구하는 바 자유교육과 역량기반교육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시사영어’(Current Issues in English) 수업을 제시한다. 시사영어는 표준적인 영어회화 수업에서 나타나는 한계를 극복하는 수업모델로서, 기본적인 영어소통능력을 갖춘 학습자가 자신의 주변과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의견을 표명할 수 있게 하는 문화교육으로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내 한 여자대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설강된 시사영어 수업의 설계, 수업내용개발, 완료이후 학습자의 피드백까지 살펴본다. 이 수업을 통해 팀으로 구성된 교수자 집단은 수업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무엇을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학습자의 반응과 요구를 즉각 수업에 반영하여, 중급학습자 특유의 수동성과 정답추구의 지향성을 넘어서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토론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한학기가 종료한 후에는 설문 작업을 통하여 추후 더 나은 수업모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업전과 후를 비교한 설문지에서 유의미하게 분석되는 부분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데 대해 크게 흥미를 갖게 된다는 점이었다. 수업전 학습자의 기대는 시사용어를 영어로 익히는 정도였으나, 수업을 통해 그들은 실제 기사를 통해 용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논쟁적인 부분에 대해 범박하게나마 의견표명을 하게 되었다. EFL 환경에서 이같은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료와 교수자의 열의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설문분석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열의라는 항목을 크게 평가하지 않는다는 점은 학습자의 수동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그들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설계에 교수자편에서의 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문헌연구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강유나 Kang, Yuna. 서울여자대학교 교양과정
  • 석진이 Seok, Jin-Yee. 서울여자대학교 교양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