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上博楚簡 『武王踐阼』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Wuwang Jianzuo(武王踐阼) in the Shanghai Museum Chu Bamboo Manuscripts

상박초간 『무왕천조』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원용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changing aspects of political notions of the Confucian school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Han dynasty through the political ideas of the Wuwang Jianzuo(武王踐阼) in the Shanghai Museum Chu bamboo manuscripts. The Wuwang Jianzuo, as a guide for desirable politics, mentions the dao(道) of Huangdi(黃帝), Zuanxu (顓 頊), Yao(堯), and Shun(舜). It reflects its times that Hunagdi, Yao, and Shun were settled as five emperors(wudi 五帝), as referred to in the “Xicizhuan(繫辭傳)” and the “Yueji(樂記)”; accordingly, the text might be completed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ddition, the Wuwang Jianzuo discusses virtues such as righteousness(yi 義), laziness(tai 怠), desire (yu 欲), veneration(jing 敬), benevolence(ren 仁), and non-benevolence(buren 不仁); however, these notions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the general ideas of Confucianism. Namely, the phrase staring with “ 敬勝怠~” or “義勝欲~” appeared in the danshu(丹書) is considered as a maxim of the Military school(兵家 ), quoted when treating military tasks. Moreover, the art of living of the Daoist school(道家) is found in the words on the object made by Wuwang(武王) in order to caution himself. In the Wuwang Jianzuo, although regarded as the Confucian text, it is not appeared the kingship politics( 王道政治) or the ritual politics(禮治). It mainly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e country. This evidence shows that a major concern of the Confucian school, from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had transitioned from emphasis on inner virtues such as benevolence(ren 仁) and propriety(li 禮) to interest in outer forms including maintenance of the country. Political ideas of the Confucian school at this period had transformed from pursuing an ideal to approaching reality. In this process, insufficient ideas of the Confucian school were supplemented by opinions of different schools. From this,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is kind of changes played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Confucianism as the state religion in the Han dynasty.

한국어

본 논문은 上博楚簡 『武王踐阼』의 특징적 어휘와 내용을 분석하여 전국시대에서 한대에 걸친 시기에 유가 가 생각하던 정치 관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상박초간 『무왕천조』는 올바른 정치의 지침서로 황제, 전욱, 요, 순의 도를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繫辭傳」, 「樂記」처럼 황제, 요, 순이 오제로서 정리되던 시대상황을 반영한 것이며, 따라서 텍스트의 성립시기도 전국 말기 무렵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사상보라는 인물, 丹書라는 서책, 처세술적인 내용은 기존 유가에서는 보이지 않는 새로운 시도다. 이러 한 새로운 시도는 후대에 유가 내부에서도 속된 것으로 평가되어 결국 『무왕천조』가 『예기』에 편입되지 못한 이유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상박초간 『무왕천조』는 유가의 문헌이면서 왕도정치도 예치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 같은 이상 정치보다는 현실정치에 보다 적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전국말~전한초의 유가의 관심이 仁과 禮 같은 내면적 덕 목의 강조에서 현실정치라는 외면적인 형태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유가의 정치사상은 이 시기 에 이상을 추구하는 형태에서 현실에 접근하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방법론을 시도하 였으며 그 시도 중 하나가 바로 상박초간 『무왕천조』다. 이 같은 시도는 변모가 한대에 유교가 국교의 자리 를 차지하게 된 데에 큰 역할을 담당했음은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상박초간 『무왕천조』의 釋文과 현대어역
 3. “黃帝・顓頊・堯・舜之道”에 대하여
 4. ‘丹書’의 성격과 ‘銘文’의 내용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용준 Won, Yong-Joon. 성균관대 B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