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孟子의 墨家 비판

원문정보

Mencius’s Criticism of Mohism

맹자의 묵가 비판

민홍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fucianism and Mohism were rival schools of thought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Mencius expresses harsh criticism of Mohism. Through his criticism of Mohism, Mencius sought to solidify the foundation, and discover the identity of his philosophy. His main point of concern was that Confucianism might lose its standing to Mohism, which had been popular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s such Mencius, who considered himself the successor to Confucius, declared Mohism to be heresy and set the discrediting of the philosophy as his primary goal. As such, the works of Mencius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riticism of Mohism. Mencius criticizes Mohism and Micius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1) Does Mohist philosophy have a dual origin? (2) Does the concept of impartial care of Mohism go against filial piety? (3) Does the concept of impartial care of Mohism go against the idea of moderation?(1) Does Mohist philosophy have a dual origin? According to Micius, the foundation of life should be the natural instinct of man. Yet Micius and Yi Zhi suggest a dual origin, leading to confusion. Mencius criticizes the paradoxical and contradictory suggestion of an external value, that of an equal, impartial care alongside the natural instinct of humanity, that of a preferential filial piety for one’s parents. However, Micius and Yi Zhi simply suggested that impartial care simply begins with one’s parents, who are physically nearby. Therefore it is not a suggestion of dual origins. In fact, Mencius claims to argue for a single origin of piety, yet fails to understand that it is simply an extension. He simply sees dual origins due to the supposed application of an external value system. Thus Mencius’s argument that Micius and Yi Zhi suggest dual origins of codes of behavior is unconvincing. (2) Does the concept of impartial care of Mohism go against filial piety? Mencius criticizes Micius’s idea of impartial care as denying filial piety. However, Micius has never condemned filial piety, nor has he devalued parents and ancestor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Mencius too has stated that one should go beyond filial piety. In that sense, Mencius’s beliefs are no different from Micius’s concept of filial piety based on impartial care. Mencius has failed to properly understand Micius’s impartial care, and if he had understood it properly and criticized it regardless, then Mencius himself may be criticized for blindly denouncing Micius’s philosophies. (3) Does the concept of impartial care of Mohism go against the idea of moderation? Mencius argues that Micius’s impartial care should be criticized because it goes against moderation. Mencius’s idea of moderation is not that of Confucius, without government and free. It is a biased, ideological form of moderation weighed down by rules and principles. It is a scheme meant to protect Confucius’s philosophies and attack the ideas of Micius and Yang Zhu. True moderation would entail embracing the philosophies of Micius. Mencius criticizes Micius for lack of moderation, but he himself is fated to receive criticism on this very point. Mencius’s criticism of Micius does not seem successful, and it seems that biased assertions about Micius are all he has.

한국어

춘추전국시대 유가와 묵가는 경쟁적 관계였다. 맹자는 묵가를 통렬히 비판을 한다. 맹자는 묵가의 비판을 통 해 자신의 철학의 근거를 확립하고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다. 당시 전국시대를 풍미했던 묵가의 철학을 그냥 두고서는 유학이 설 자리를 잃어버릴까 전전긍긍하였다. 그래서 공자의 철학의 계승자를 자임한 맹자는 묵자 철학을 이단이라 비판하고 묵자철학을 물리치는 것을 자신의 학문을 하는 최고의 목표에 두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맹자』라는 서물은 ‘묵자 비판서’라는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맹자가 직접적으로 墨家 및 墨者를 비판하는 내용은 다음의 3가지이다. ⑴묵가철학의 근본은 두 개인가? ⑵묵 가철학의 ‘兼愛’는 ‘無父’인가? ⑶묵가철학의 ‘兼愛’는 ‘反中庸’인가?⑴ 묵가철학의 근본은 두 개인가? : 맹자에 의하면 삶을 지배하는 근본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 하나이어야 하는데, 墨者 夷之는 두 개의 근본을 제시하여 혼란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즉 부모를 위하는 차등적 사랑인 인간 내부의 자연적 본성(仁, 孝親) 외에 평등한 무차별적 사랑(兼愛)인 외적 가치 기준을 제시하여 모순 대립됨을 맹자는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墨者 夷之는 단지 겸애의 실천은 공간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부모로부터 시작됨을 말한 것으로 두 개의 근본에 바탕을 둔 행위를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맹자는 하나의 근본을 말하고 있지만 그 하나의 근본은 단서일 뿐 확충이 요구 되며, 그것은 외적인 여건의 영향을 받는 다는 점에서 두 개의 근본을 설정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墨者 夷 之가 행위 원칙으로서 두 개의 근본을 제시했다는 맹자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⑵ 묵가철학의 ‘兼愛’는 ‘無父’인가? : 맹자는 묵자의 겸애를 부모를 부정하는 것이라 비판하지만 묵자는 결코 효를 비난하거나 부모의 존재를 무시하는 그 어떤 발언도 하지 않았다. 맹자 자신도 부모에 대한 효를 강조하 고 있으나 자신의 부모에 대한 효에만 머물러서는 안 됨을 말하고 있다. 이는 묵자의 겸애에 근거한 효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맹자는 묵자의 겸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고, 묵자의 겸애를 확실히 알고 비판 했다면 그것은 묵자의 학설을 매도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⑶ 묵가철학의 ‘兼愛’는 ‘反中庸’인가? : 맹자는 묵자의 겸애가 중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비판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맹자의 중용은 공자의 무정부적인 자유분방한 중용이 아니다. 그것은 편협한 관념적인 원리 원칙에 얽매인 중용일 뿐이다. 그것은 공자의 도를 지키고, 양묵의 도를 비판하기 위한 편법일 뿐이다. 진정한 중용은 墨子의 道를 포용하는 것이다. 맹자의 묵자 비판은 중용이라는 잣대로서 비판을 하지만 맹자 자신도 그 중용에 갇혀 비판받게 되는 운명에 빠지고 말았다고 할 수 있다. 맹자의 묵가 비판은 그다지 성공적으로 보이지 않고, 묵가에 대한 맹자의 일방적인 자기주장이『맹자』를 채우고 있을 뿐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며
 2. 묵자와 맹자의 대립
 3. 묵자철학에 대한 맹자의 비판
  1) 묵가철학의 근본은 두 개인가?
  2) 묵가철학의 ‘兼愛’는 ‘無父’인가?
  3) 묵가의 ‘兼愛’는 ‘反中庸’인가?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홍석 Min, Hong-Suk.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