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항기 전후 호서유학자의 학맥별 갈등양상과 그 성리학적 근거

원문정보

A Study on Hoseo Confucian Scholars' Conflicts and The Neo-Confucian Ground before and after the Port Opening

이영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conflict patterns and a relevant New-Confucian basis by the school ties of Hoseo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age of civilization. Around the age of civilization, school ties created in the Hoseo region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representative types. First is the Im Heon-heui and Jeon Woo school ties and the Song Byeong-hwa school ties of the Nangnon line in the Hoseo region. Second is the Lee Seol and Kim Bok-han school ties and the Lee Sang-soo and Park Mun-ho school ties of the Horon line. Third is the Song Byeong-seon and Song Byeong-sun school ties and the Lee Cheol- yeong school ties of the Horak compromise line. Fourth is the Choi Ik-hyeon and Yu Jin-ha school ties of the Hoseo Lee Hang-ro school ties. Fifth is the Shin Gi-seon and Yuk Yong-jeong school ties of Hoseo Dongdoseogiron. Amidst the reality of the turbulent era, they caused conflicts and di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view of source owing to acute confrontation between Wijeongcheoksaron and Gaehwaronro(civilization theory). Also, active Euibyeong Tujaengnon(theory of struggle led by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Choi Ik- hyeon and Song Byeong-seon and passive Jajeongron(self-purification theory) of Im Hun-heui and Jeon Woo came into conflict. Also, Yuk Yong-jeong and Shin Gi-seon criticized both Wuijeong Cheoksaron and Gabsin Gaehwadang while insisting on Dongdoseogiron which sought the compromise and harmony of both. Such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reality and in the view of source by school ties may be caused by any difference in the Neo-Confucian basis involving the recognition of Li or Chi and the recognition of Inmulseongdongi.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NRF-2011-35C-A00193)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개항기를 전후하여 호서유학자의 학맥별 갈등양상과 그 성리학적 근거를 다루고 있다. 개항기를 전후하여 호서지역에 형성된 학맥은 대체로 다음의 5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호서지역 낙론 계열인 임헌회․전우 학맥과 송병화 학맥, 둘째, 호론 계열의 이설․김복한 학맥과 이상수․박문호 학맥, 셋째 호락 절충 계열의 송병선․송병순 학맥과 이철영 학맥, 넷째, 호서 이항로 학맥의 최익현, 유진하 학맥, 다섯째, 호서 동도서기론의 신기선․육용정 학맥이 대표적이다. 격동기의 현실 속에서, 이들은 위정척사론과 개화론의 첨예한 대립으로 출처관에 따른 갈등과 분열을 야기하게 된다. 최익현과 송병선 등의 적극적인 의병투쟁론과 임헌회, 전우 등의 소극적인 자정론이 갈등하였다. 또한 육용정, 신기선은 위정척사론과 갑신개화당을 모두 비판하면서 양자의 절충과 조화를 모색한 동도서기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학맥별 현실인식과 출처관의 차이는 리 혹은 기에 대한 인식, 인물성동이에 대한 인식 등 성리학적 근거에 따른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개항기 전후 호서유학자의 학맥과 사상적 배경
  1) 호서 낙론 계열 – 임헌회ㆍ전우 학맥, 송병화 학맥
  2) 호서 호론 계열 –이설ㆍ김복한 학맥, 이상수ㆍ 박문호 학맥
  3) 호서 호락론 절충 계열 – 송병선ㆍ이철영 학맥
  4) 호서 이항로 학맥 계열 – 최익현ㆍ유진하 학맥
  5) 호서 동도서기론 계열 – 신기선ㆍ육용정 학맥
 3. 개항기 전후 호서유학자의 학맥별 갈등양상과성리학적 근거
  1) 임헌회ㆍ전우 학맥
  2) 이설ㆍ김복한 학맥
  3) 송병선ㆍ송병순 학맥
  4) 최익현ㆍ유진하 학맥
  5) 신기선ㆍ육용정 학맥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자 Lee, Young-Ja. 건양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