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놀이를 통해 본 초파일과 단오의 세시적 상관성

원문정보

Transition in Village’s Religious Rituals : With focus on Dongmyeon and Seoseokmyeon in Hongchoengun.

정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dentifies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nual cyclical rituals relation of April's Chopail and May's Dano through in the mask dance of the middle area era from in the 19th to and early of 20th centuriescenturies. After the 19th century, Sandaenori was performed in Dano, Chopail, and Baekjung. and The period in which the mask dance of Hhwaghae Pprovince was performed was changed to Dano from Chopail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primarily according to 4owing to four primary reasons. First, in looking at the aspects of the annual ritual's character, Dano had afeatures a group play features in which men and women playedperformtogether in an open places. Compared to thisIn comparison, Chopail's event was focused on Bbuddhistsm ritual and official rank. Second, if we searched for relation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areato thecommercial rights in an area, conditions for Dano had awere favorable condition compared to those for Chopail because it was connected to private commercial capital, and a group market was formed. Third, if we looked at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groups, Dano had a character that it was characterized as a kind of interactive festival in which the village people participated actively. On the other handConversely, Chopail was a unilateral ritual event based on Buddhism in which only the women were participateding based on Buddhism. LastFinally, looking at magical timeowing to beliefs in magic, Dano's character was to prevent bad luck, to had aso that a person might have positive strong goodstrong, good positive energy. This had meaning provided a good match with for the ritual dance of the mask dance and Shimyungpuri group Shimyungpuri. For these reasons, the period in which the Kkorean mask dance of in the middle area era was performed changed gradually to Dano from Chopail in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Dano(the fifth day of May of in the lunar calendar), Chopail(the eighth day of April of the lunar calendar), Mask Dance, Traditional Yeonhui(traditional entertaining theatricals), Play, Annual Cyclical Rituals, Sandae -Nori(Kunki region mask dance), Talchum(Hwang hae region mask dance)

한국어

산대놀이 시기는 단오, 초파일, 백중이 혼재되어 있고, 황해도 탈춤은 초파일에서 20세기 초에 단오로 바뀌었다. 이 글은 4월 초파일과 5월 단오의 세시적 관련성을 19-20세기 초 중부 지역 탈놀이를 통해 접근했다. 4월 초파일은 역사적으로 고려 후기에 연등회 시기로 정착되며, 당시 그림자 인형극인 만석중놀이, 줄타기, 솟대타 기, 탈놀이, 줄불놀이 등의 다양한 잡희가 함께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와서 사찰의 불교의식으로 제한되 며, 점차 잡희가 약화되고 도심지의 다양한 등을 구경하는 관등(觀燈)에 초점을 맞춘다. 단오는 13세기 말에 격구를 중심으로, 씨름, 그네뛰기, 음악과 춤, 기타 불놀이, 활쏘기, 축귀 춤 등이 결합된 형태 로 개방된 공간에서 전승되다가 조선시대에 와서 격구가 쇠퇴하면서 민간의 그네뛰기와 씨름대회 형태로 바뀐다. 이것이 20세기에 와서 도심지 집단 야유회나 운동회로 확대된다. 중부지방 탈놀이가 19세기-20세기 초에 초파일보 다 단오가 더 중요한 놀이 시기로 바뀌게 된 데에는 4가지 연유가 있다. 첫째, 세시적 성격을 보건대, 단오가 개방된 공간에서 남녀가 함께 어울리는 집단 놀이적 성격이 두드러진 반면, 초 파일은 사찰 중심 불교의식과 소극적 관등(觀燈) 중심으로 나타난다. 단오날 주간에 개인놀이인 남성 씨름, 여성의 그네뛰기가 이루어지고 야간에는 남녀가 같이 향유하는 대동놀이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특히 단오는 초여름의 시기로 밤늦은 시기까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조건을 지닌다. 둘째, 지역 상권과의 관련성을 보면, 4월 초파일보다는 단오가 민간 상업 자본과 결합되어 집단 난장이 형성되는 유리한 조건을 지닌다. 초파일이 사찰 중심에 도심지의 넓은 공간에 걸친 관등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지역 상권과 유기적 관련성이 적고 난장이 직접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단오는 주간의 남녀 놀이판을 야간에 밀집된 특 정 지역으로 유도해서 집단적 탈놀이판이 벌어진다는 점에서 유리한 세시적 특징을 지닌다. 셋째, 참여집단의 소통 방식을 보면, 초파일은 불교적 기원에 여성 중심의 일방적 보여주기 위주의 세시이지만, 단 오는 개방된 공간에서 민간의 적극적 참여에 의한 신명나는 쌍방향 소통 중심의 축제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 히 탈놀이는 원형의 개방된 공간에 공유된 춤, 재담, 소리, 몸짓의 상징 등의 연희요소가 사전 공유되어 있으며, 각 종 추임새, 춤으로의 직접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단오가 지닌 개방적 성격과 잘 부합된다. 넷째, 주술적 시각에서 보면, 단오가 재액을 막는 풍습이 있고, 양의 기운이 센 날이라는 점은 탈놀이가 탈을 쓰고 탈을 막는 정화의 축귀의식무에서 출발하고, 대동의 신명풀이를 지닌다는 점과 잘 부합된다. 다섯째, 조선 후기부터 중부지방 탈놀이에 중 관련 풍자가 점차 가미되면서 탈놀이가 초파일의 성격과 상충되는 양 상을 보인다. 이런 점도 점차 초파일에서 단오로 옮겨가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결국 초파일은 고려 말기의 관민 중심의 의식과 놀이적 성격이, 조선시대에 와서 사찰 중심의 행사가 되고, 조선 후 기 도심지 관등 중심으로 바뀌면서 탈놀이가 지닌 대동놀이적 성격과 융합되기 어렵게 되었다. 반면 단오는 집단 세시놀이적 성격에 다양한 난장의 형성, 개방된 원형의 놀이판에서 쌍방향 소통, 축귀적 성격 등을 지녀 탈놀이가 잘 부합된다. 이런 연유로 19-20세기 초에 와서 중부지방의 탈놀이가 초파일에서 단오로 점차 전이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머리말
 Ⅱ.세시풍속으로서 초파일과 단오의 세시적 특징
 Ⅲ.중부 지역 탈놀이에 나타난 초파일과 단오의 세시적 상관성
 Ⅳ.중부 지역 탈놀이가 초파일에서 단오로 전이 된 연유
 Ⅴ.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형호 Jung,Hyung-ho.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