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인교회를 위한 모델로서의 다문화교회 : 미국내 타민족 전도를 위한 전환방안

원문정보

Multicultural Congregations as Models for Mono-Cultural Korean Churches : Reaching Out to Non-Koreans in the United States

구병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how mono-ethnic/monocultural minority churches can maximize their capacity to reach out and integrate different ethnic/racial people in the United States. To this end, it studied three Korean-initiated multicultural churches, in addition to one Dutch-initiated multicultural church, because of the potential that Korean Americans pose for the future of American Christianity. The study employs field-based case studies as well as scholarly research. As emerging leaders Korean-American Christians are participating in the multicultural church movement with a greater concernfor the Great Commission than for racial reconciliation, which tends to be a dominant focus in historically white or black multicultural American churches. In its findings, this study discovered that first-generation Korean senior pastors' vision and support for the second-generation Korean-Americans were crucial in the transition. In addition, members' youthfulness in age and in spirit enabled them to adjust more easily and make many changes. Also, the senior/lead pastors' sharing the pulpit with pastors of different races and their own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were also advantageous in the transition. With the exception of ethnically/racially mixed couples, the study found that evangelism in these churches took place when multicultural churches made intentional efforts to provide many evangelistic programs, events, and small groups for outsiders. As its application, this study proposes a model transition process, named the Windmill T-process, to help monocultural churches that want to become multicultural in order to reach out to all nations within a multicultural local context. The Windmill T-process model is divided into fixed and moving parts. The five fixed parts make up the windmill's base, and are necessary for monocultural churches in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checking for feasibility, casting a vision, becoming independent, adopting a non-ethnic church name, and relocating. The remaining five moving parts are constantly in motion: serving the neighbor, refreshing the vision, diversifying leadership, providing cultural intelligence training, and having multicultural worship teams. The Windmill T-process is not a static linear process but an ongoing one. It implies that the church can develop and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cultural church only when the five moving steps are working continually.

한국어

이 연구는 어떻게 미국내 한인교회들이 타문화(타민족/타인종) 사람들을 전도하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하나가 될 것인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미국은 다문화사회로 탈바꿈하였으며 기독교가 지속적으로 쇠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한인교회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선교적 부르심에 응답해야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내 한인교회가 어떻게 다문화교회로 전환할 것인가와 다문화교회와 타민족 전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세 개의 “한인 주도(Korean-initiated) 다문화교회들”‒Covenant Fellowship Church in Urbana-Champain, IL, Lakeview Church in Chicago, IL,Renewal Presbyterian Church in Philadelphia, PA‒과 한 개의 화란인 주도(Dutch-initiated) 다문화교회‒Madison Square Church in Grand Rapids,MI‒를 2012년 탐방하고 직접 및 참여적 관찰, 인터뷰, 문서 및 인터넷 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회로의 전환에 있어서 중요한 세 가지를 보여준다. 첫째, 1세대 한인 담임목사의 차세대를 위한 비전과 지원이 다문화교회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다. 둘째, 다문화목회에 유리한 담임목사의 특징으로는 주일설교를 타문화 목사와 공유하는 것과 담임목사 자신이 다문화 가족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교회의 성도들의 연령적 및 정서적으로 젊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젊음은 다문화교회로의 지속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교회와 전도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타문화 사람들의 다문화교회 방문 및 정착 이유는 다문화적 요인보다는 설교와 소그룹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단 혼합결혼(mixed-marriage)의 경우는 다문화교회를 선호했다. 전도와 관련한 또 하나의 중요한 교훈은 의도적, 략적으로 전도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다문화교회가 되는 것만으로는 타문화 사람들을 전도하는 데 부족하고, 지속적으로 전도를 강조하고 다수의 전도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타문화 전도대상자들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회로의 전환방법에 있어서는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풍차전환 모델”(Windmill T-process)을 제안한다. 풍차전환 모델은 총 10개의 전환과정을 포함하며, 크게 기초적 전환과정과 지속적 전환과정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기초적 전환과정은 다섯 가지로 1) 전환가능성 확인, 2) 비전수립, 3) 독립(1세 교회로부터), 4) 중립적 교회이름 갖기, 5) 교회 장소이전을 포함하여 전환초기에 필요하고 단회적으로 끝나는 과정들이다. 이는 풍차의 몸체에 비유할 수 있다. 지속적 전환과정도 다섯 가지로 1) 이웃 섬기기, 2) 비전 상기시키기, 3) 리더 구성의 다문화화, 4) 문화지수 훈련, 5)다문화 찬양팀 갖추기를 포함한다. 이들은 다문화를 심화, 유지시키기 위해 지속되어야 하는 과정들로 풍차의 중심축과 날개에 비유할 수 있다. 풍차전환 모델은 미국의 한인교회뿐 아니라 타민족을 품기 위해 다문화교회로의 전환을 시도하는 다른 교회들과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이행하는 한국의 교회들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적용에 있어서 미국과의 차이를 고려한 신중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4개 다문화교회의 간략한 역사 및 개요
 III. 다문화교회로의 전환과정에서 얻은 주요한 통찰
 IV. 풍차전환 모델(Windmill T-process Model)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병옥 Byoung Ok Koo. 개신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