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주 지역 대학생의 표준 발음 사용 실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urrent Use of Standard Pronunciations by College Students in the Cheongju Region

장충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sidered the current use of standard pronunciation by college stud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nunciation of final consonants, which can be very confusing to students. The highest standard-pronunciation realization rate for simple final noun consonants was found with ‘kkoch’. This was followed by ‘bij,’ ‘bat’, ‘mureup,’ and ‘bueok’ in that order. The standard pronunciation realization rate of double final consonants of a noun and the ratio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moks’ and ‘gabs’ were also high, whereas the ratio of the non-standard pronunciation of ‘dalk’ and ‘yeodeolb’ was high. In the predicate of double final consonants, the realization rate was highest in descending order from ‘balbda,’ ‘neolbda,’ ‘hultda,’ to ‘malgda.’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s related to noun postposition or ending combinations, the realization rate, when postposition ‘i’ is combined, the standard pronunciation realization rate is high in most cases, while the lowest realization rate is found in postposition ‘e.’ Regarding predicates, the standard pronunciation feasibility rate with regard to ending combinations is irregular, showing different results in different word contexts. The chi-squared test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realization rate with regard to postposition combination is significant. In addition, almost no difference occurs realization rates by sex.

한국어

본고는 청주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표준 발음의 사용 실태를 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표준 발음법’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은 혼란을 느끼고 있는 받침의 발음을 대상으로 하였다. 받침의 발음 중 홑받침 명사의 표준 발음 실현율은 ‘꽃’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빚’, ‘밭’, ‘무릎’, ‘부엌’의 순으로 나타났다. 겹받침의 경우, 명사의 표준 발음 실현율은 ‘몫’, ‘값’, ‘닭’, ‘여덟’의 순으로 높았고, 용언에서는 ‘밟다, 넓다, 훑다, 맑다’의 순으로 높은 실현율을 보였다. 한편 조사 및 어미 결합별 실현율을 살펴보면, 명사의 경우에는 조사 ‘이’가 결합될 때의 표준 발음 실현율이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조사 ‘에’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용언의 경우에는 어미 결합에 따른 표준 발음 실현율이 규칙적이지 않고 단어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조사 결합에 따른 실현율의 차이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실현율을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실현율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홑받침의 발음
 3. 겹받침의 발음-체언
 4. 겹받침의 발음-용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충덕 Jang, Chung-deok. 충북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