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性狀冠形詞의 範疇 設定에 관한 一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Category Establishment of Shape Determiner

성상관형사의 범주 설정에 관한 일고찰

崔洪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category and list of shape determiner and present the criterion to distinguish between determiner and prefix, depending on three syllable Sino-Korean characters that show on the list of 33 shape determiners in its previou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previous study elements are researched and the category and list for determiner are set. As a result, among the three syllables Sino-Korean characters the following letters are classified as a prefix; Ga(假), Dae(大), Myung(名), Bu(副), Saeng(生), Shin(新), Jeong(正), Jun(準), Jin(眞), Cho(超). And the radixes which is neither prefix nor determiner are followed; Go(高), Gong(公), Geub(急), Dan(短), Sa(私), So(小), Suk(熟), Ak(惡), Wan(緩), Jeo(低). The letters which are both prefix and radix are followed; Ho(好), Pyung(平). The letter of sun(純), Jang(長) is both prefix and determiner. The letter of Dan(單), Man(滿) are both radix and determiner. Finally only determiner is followed; Gu(舊), Geun(近), Dong(同), Sin(新), Yak(約), Yi(異), Ju(主). Therefor among 33 letters on the list of previous study the following letters can be classified as shape determiners; Gu(舊), Geun(近), Dan(單), Dong(同), Man(滿), Sun(純), Sin(新), Yak(約), Yi(異), Jang(長) and Ju(主).

한국어

본 硏究는 性狀冠形詞의 範疇와 目錄을 設定하는 데 目的을 두고, 先行硏究에 나타나는 性狀冠形詞 목록 33字의 先行 成分을 3音節 漢字語를 중심으로 冠形詞와 接頭辭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先行 成分의 意味 把握하여 性狀冠形詞의 範疇 및 目錄을 확정했다. 그 결과 3音節 漢字語 先行 成分 중에서 接頭辭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가(假), 대(大), 명(名), 부(副), 생(生), 신(新), 정(正), 준(準), 진(眞), 초(超)’, 接頭辭나 冠形詞도 아닌 語根은 ‘고(高), 공(公), 급(急), 단(短), 사(私), 소(小), 숙(熟), 악(惡), 완(緩), 저(低)’, 接頭辭이면서 語根인 것은 ‘호(好), 평(平)’, 接頭辭이면서 冠形詞인 것은 ‘순(純), 장(長)’, 語根이면서 冠形詞인 것은 ‘단(單), 만(滿)’이며, 마지막으로 冠形詞로만 쓰인 것은 ‘구(舊), 근(近), 동(同), 신(新), 약(約), 이(異), 주(主)’이다. 그러므로 先行硏究에서 선정했던 目錄 33字 중에서 性狀冠形詞로 볼 수 있는 것은 ‘구(舊), 근(近), 단(單), 동(同), 만(滿), 순(純), 신(新), 약(約), 이(異), 장(長), 주(主)’ 등이다.

목차

국문초록
 1. 序論
 2. 冠形詞와 接頭辭의 판별기준
 3. 性狀冠形詞의 目錄과 漢字語 構造
 4. 3音節 漢字語의 先行 成分 分析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崔洪烈 최홍열.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