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New Approach to Public Segmentation Theory Suitable for Social Media Public

김동성, 이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will be one of top priority tasks for PR practitioners as well as PR researchers to identify andpredict the segmented publics’ perceptions and their behaviors regarding given issues. Grunig’s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 and Hallahan’s issues processes model have beenserv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bone on this matter. But new and advanced publicsegmentation theory is needed for the social media public in two-way interactional andtransactional communication paradigm. Thu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degree of ‘socialnetwork’ will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public segmentation for social media public suchas people on facebook fan page. The followings are main objectives and results of thisresearch. The first research objective is to find influential segmentation factors for the social mediapublic. In addition to the involvement and knowledge factor used in earlier studies, the presentresults showed that the network factor is the significant indicator for social media publicsegmentation. Specifically, the social network variable defined as the ‘between centrality’performing the mediator or communication role in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significantfactor to affect many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information seeking, sharing, andpublishing, except for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it is found that social media publics can be categorized into 8 types featuringdifferentiated communic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knowledge, andnetwork. The authors invite PR practitioners and PR researchers to validate and utilize newlyformed social media public segmentations. The final research objective purports to find a fast and efficient measurement method for the network factor by using technical program such as NodeXL, which easily provide the dataregarding the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serve the research objective, thecentrality data obtained from NodeXL program and the perception data obtained fromtraditional survey methods are compared. However, the results of two data sets were notconsistent, presumably due to SNA(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s crawling technologylimitation or due to sampling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ocial media's privacy polic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ublic’s involvement, knowledge, and networkvariables are the key influential factors for segmenting social media publics. Furthermore, itis suggested that the 8 social media public types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deserve moreacademic and practical scrutiny. Social media public segmentation study is still in its earlystages. Thus, additional follow-up studies extending the findings of this exploratory study willenrich the PR communication fields by providing valuable guidelines for PR practitioners inplanning and executing effective social media PR campaigns.

한국어

세분화된 공중별 인식과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일은 PR 실무자들이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효과적 인 PR 전략 수립을 위한 우선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Grunig의 상황이론과 Hallahan의 쟁점진행모델을중심으 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양방향의 상호작용적·교류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중심이되는 현재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새로운 공중, 즉 소셜 공중에 적합한 진화된 세분화 요인을 새롭게 제시할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새로운 기준으로서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이슈를 공유하는 이용자들 사이의 관계, 즉 소셜 네트워크라는 요인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공중인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들을 찾는 것이다. 기존 공중 세분화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분화 요인 중 관여와 지식 변인이 소셜 공중에게도유 의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소셜 공중을 위해 새롭게 제시하는세분 화 요인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매개 및 소통 역할을 의미하는 사이 중앙성으로 정의한 소 셜 네트워크, 즉 관계 요인도 유의한 소셜 공중 세분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관계 변인은 정보처리행동을 제 외하고 정보추구행동과 쟁점진행모델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확장한 정보생산행동인 정보공유와정보저작 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여, 지식, 관계라는 3가지 세분화 요인들의 수준 고저에 따라 8개의 소셜 공중을 유형화하고 그 차 별화된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서 베이를 통한 인식적 차원의 측정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적 측정은 소셜 미디어의 사 생활보호 정책과 샘플링 등의 문제들로 인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관여, 지식, 그리고 관계가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 으로 소셜 공중을 유형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 PR 전략을 위한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SN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관계 변인을 기술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번 연구가 소셜 공중 세분화에 대한 초기의 탐색적 연구이기에 향후에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분야 에서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재검증 및 일반화를 위해서 요구된다.

목차

요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론적 배경
  공중과 소셜 공중
  공중세분화 연구
  소셜 네트워크 : 새로운 공중 세분화 요인
 연구방법론
  연구문제와 모형
  연구방법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의 결과: 새로운 소셜 공중 세분화 요인의 발견
  연구문제 2의 결과: 소셜 공중 유형별 특성
  연구문제 3의 결과: 소셜 네트워크 요인에 대한 기술적 측정 가능성
 결론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성 Dong Sung Kim.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강사, 홍보학 박사
  • 이현우 Hyunou Lee.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