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dvances in the Theory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Management and Challenges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Theory
초록
영어
The notion of relationships as the core of public relations has broughta fundamental shift in the function and direction of the scholarship. Therelationship management theory-initiated by Ferguson's (1984) call for increasedattention to relationships in the practices and theory of public relations-has since developed with contributions from pathfinder scholars(Broom & his colleagues, 2000; Hon & Grunig, 1999; Ledingham &Bruning, 199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review howresearch has advanced the shift theoretically and second, to provide directionsfor future study. To this end, it begins by taking stock of thesescholars' foundational work at the inception stage; then goes on to revisitthe following edifice of building-up research, conducted in the UnitedStates and Korea over the past decade; and lastly, supplies future researchwith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nsights to make abreakthrough in current relationship research in need of ground-breakingprogress.
한국어
본 논문은 PR 연구와 실무에 있어 개념의 혁명을 몰고 온 조직-공중 관계성이론의 태동과 그 성장과정을 기술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쓰여졌다. 1984년 퍼거슨은 AEJMC의 PR 분과 발표에서 ‘PR 연구의 단위는 조직,공중, 혹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아니라 관계성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공중관계(public relations)의 축약어인 PR이 그 이름 자체에 관계성을 내포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이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통한 공중 설득에만 집중했음을 비판한 것이다. 본격적인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 브룸과 그의 동료들(Broom, Casey, & Ritchey, 2000)은 대인커뮤니케이션, 심리치료, 조직간 관계성, 시스템이론 등의 분야에 대한문헌연구를 진행한 뒤, 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관계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관계성의 3단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혼과 그루닉(Hon & Grunig, 1999)은 미국Institute of Public Relations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계성의 6가지 구성차원에 대한 측정 항목들을 발표하였다. 레딩엄과 브루닝(Ledingham &Bruning, 1998) 또한 독자적인 관계성 연구를 시작해 관계성의 구성 차원을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이렇게 시작된 관계성 연구의 태동과정을 주요 연구들에대한 기술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2000년 이후 관계성은 PR 연구의 주요 주제로 부상하였고 수많은 연구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계성 연구의 성장과정을 미국의 연구와 한국의 연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미국에서 행해진 연구에 대한 리뷰 부분은 ① 관계성 모형의 진화 ② 관계성 척도의검증 ③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이라는 큰 3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2000년 초반부터 한국의 학자들도 이 새로운 이론을 탐구하고 한국적 상황에적용하기 위해 노력해 온 바, 지난 10여 년 간 이루어진 국내의 관계성 연구들도① 관계성 척도의 검증, ② 다양한 영역에의 적용, ③ 관련 분야와의 접목(위기관리, 평판관리, 갈등관리 등), ④ 매체 플랫폼의 변화에 따른 관계성 연구의진화 등의 4가지 소주제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관계성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의 태동
3. 조직-공중 관계성 연구의 이론적 성장: 미국의 연구
1) 관계성 모형의 진화
2) 관계성 척도의 검증
3)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
4. 조직-공중 관계성 연구의 이론적 성장: 한국의 연구
1) 관계성 척도의 검증
2) 다양한 영역에의 적용
3) 관련분야와의 접목(위기관리, 평판관리, 갈등관리 등)
4) 매체 플랫폼의 변화에 따른 관계성 연구의 진화
5.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 이론적/방법론적 한계의 극복
1) 이론적 한계의 극복
2) 방법론적 한계의 극복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