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R 전문성 평가 차원의 상대적 우선순위 : 기업 PR 실무자와 PR대행사 실무자의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valuating Relative Priority on Criteria of Public Relations (PR) Professionalism : A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Corporate PR Practitioners and PR Agency Practitioners

김대욱, 최명일, 김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explor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n criteria of public relations (PR)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 practitionersconsider the organizational level as the most important PR professionalismstandard at the first level, followed by the industry level andthe individual level. More specifically, at the second level, PR importanceperceived by dominant coalitions and clients in the organizational level,competence with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department in the industrylevel, and research ability to examine PR programs in the individuallevel are highly evaluated as prominent elements of PRprofessionalism. By combining results at the first and second levels, wedetermined the top-five elements of PR professionalism, such as PR importanceperceived by the dominant coalition and clients, competencewith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department, clear definition of PRroles within an organization, equal opportunity, and research ability to examinePR programs. Those resul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corporate PR practitioners and PR agency practitioners. This study contributesto PR academia and industry by setting up developmental directions of PR professionalism in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PR 실무자들의 PR 전문성 평가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다면적인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PR 실무자들은 1차 주요 요인으로 조직요인, 업계요인, 개인요인 순으로 상대적 비중을 평가하였다. 1차 전문성 요인들을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2차 주요 요인 평가에서 조직요인은 고객 혹은 조직내 고위 관리자의 PR 중요성 인식이, 업계요인에서는 마케팅, 광고와 같은 유사분야와의 경쟁능력이, 개인요인에서는 PR 프로그램 계획, 수행, 평가를 위한연구 능력 등이 상대적으로 비중 있게 평가되었다. 1, 2차 결과를 종합하면, 고객혹은 조직 내 고위 관리자의 PR 중요성에 대한 인식, 마케팅, 광고와 같은 유사분야와의 경쟁 능력, PR 업무의 명확한 정의, 조직 내 기회 균등, PR 프로그램계획, 수행, 평가를 위한 연구 능력 등이 상위 5개 주요 PR 전문성 요인으로비중 있게 인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R학계와 업계가 PR전문성 확립과 발전을 위한 방향점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문헌 연구
  1) PR 전문성
  2) 한국 PR 전문성 관련 선행 연구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1) 분석 방법
  2) 설문 구성 및 척도
  3) 연구 대상
 5. 분석 결과
  1) <연구문제 1>의 결과
  2) <연구문제 2>의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대욱 Daewook Kim. 미국 텍사스텍대학교 홍보학과 박사과정
  • 최명일 Myung-Il Choi.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 김수연 Soo-Yeon Kim.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