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종 조류독감 보도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원문정보

The Third-Person Effects of the News Coverage on New Avian Flu

차동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third-person effect of news coverage on new avian flu to which news media pay little attention. It examines the perceptual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third-person effects. Moderator variables of third-person effect-demographics, exposure to health news, fear of the similar flu in the past etc.-are also examined. Data from a survey of college students(N=252) were analyzed. Findings show that respondents tend to think the influence of new avian flu news on others is greater than on themselve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ith males reporting the increase of third-person effect and females not. Exposure to both interne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excluding both print and broadcasting media, was found to narrow the self-other perceptual gap. Past fear of the avian flu and swine flu did not affect the third-person effect of news coverage on new avian flu. However, it affected significantly information-seeking intention regarding new avian flu. The perceptual component of third-person perception did not explain the behavioral component of it. The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과거에 언론의 관심을 많이 받았지만 현재는 언론이 그다지 주목 하지 않는 유행병인 신종 조류독감에 관한 언론보도가 제3자 효과를 유발하는 지, 또한 수용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매체 노출도, 과거 유사 유행병에 대한 공포감 등이 제3자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학생 252명이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가설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대 학생 응답자들은 신종 조류독감과 관련한 언론보도에 제3자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대학생의 성별, 매체 노출정도 역시 제3자 지각에 영향을 주었는데, 남학 생일수록 제3자 지각이 증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들이 접촉한 매체 중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제외한 인터넷과 대인매체만이 제3자 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조류독감이나 신종플루에 대한 공포심은 신종 조류 독감에 대한 제3자 효과 유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신종 조류독감과 관련한 정보추구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종 조류 독감 보도에 대한 제3자 지각은 이어지는 정보추구의도에 연결되지 않았다. 연 구결과에 관한 해석과 논의가 진행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제3자 효과
  2) 성별의 차이
  3) 언론보도 노출정도
  4) 과거 경험
  5) 신종 조류독감에 대한 정보추구의도
 3. 연구방법
  1) 응답자 선정 및 설문
  2) 주요변인의 측정
 4.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인의 평균 및 상관관계
  3) 가설 검증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동필 Dong-Pil Cha.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