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스마트폰 한국어 금연앱 내용 분석 : 기본심리욕구의 충족과 목표내용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Smoking Cessation Apps for Smartphone : Applic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최정화, 박동진, 노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martphone apps are receiving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s a mean to solve public health problems which require consistent behavioral change or health management. Various apps for smoking cessation are also available but there exists nearly evaluation or analysis of these apps. In regard to this,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Smartphone apps for smoking cessations which are available in Korean, apply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apps do not offer the functions or contents to satisfy the basic needs suggested by SDT(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apps also tended to present more extrinsic goal contents (primarily in terms of gaina/loss of money) over intrinsic goal contents (i.e., health). To sum up, the apps seems limited in its utility to lead people to stop smoking, as they are more likely to tap controlled motivation rather than autonomous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to public health practitioners and consumer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한국어

최근 지속적인 건강행위의 변화나 건강관리를 요구하는 건강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한 정보기술의 하나로 스마트폰 앱이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다. 금연 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앱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이러한 앱에 대한 평가나 분석은 거의 없는 형편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앱 시장에서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는 29개의 금연앱의 내용을 자기결정성이론(Self‐ Determination Theory: SDT)에 기반하여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금연앱들은 SDT가 제시하는 기본욕구인 자율성, 유능 성, 관계성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 내용과 관련해서도 외재적(주로 금전적 이익 및 손실) 목표내용만을 제시하거 나 외재적 및 내재적(즉 건강) 목표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금연앱은 자발적 동기화가 아닌 통 제적 동기화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건 실무자 및 소비자에 대한 실무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 또한 논의 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 연구
  1) 정보기술과 건강관리
  2) 자기결정성이론과 금연행위
 3.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코딩 프로토콜 개발
  3) 코더 간 신뢰도
 4. 분석 및 결과
  1) 서술적 분석
  2) SDT 기본욕구 관련 속성 분석
  3) 암시된 목표내용 관련 기능 분석
  4) 목표내용의 이익·손실 프레이밍 분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정화 Jounghwa Choi.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 박동진 Dong-Jin Park.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 노기영 Ghee-Young Noh.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