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위험 인식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위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 방사선 위험을 중심으로 한 분석

원문정보

The Interaction Effects of Message Framing, Risk Types and Audience Expertise on Risk Perception in Risk Communication : An Analysis of Radiation Risks

김효진, 김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effects of message framing, risk types and audience expertise on risk perception as well as to evaluate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these independent variables. The framing effects of gain or loss messages on risk percep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devised by Kahneman and Tversky (1979). The risks were categorized by the irradiated food and radioactive therapy testimonials. And the measures of risk perception included risk-taking and risk-aversion. The 2*2*2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message framing and expertise as between-subject variables, and risk type as a within-subject variable.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risk expertise and risk type had main effects on risk perception. However, the three way effect of message framing, audience expertise and risk type was also detected in the case of risk perception on benefits.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had different risk perceptions by message framing. In the case of risk-aversion, risk expertise and risk type had an interac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메시지 프레이밍과 수용자의 전문성, 위험 유형이 위험 인식과정 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시지 프레이밍이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의 차이 그리고 위험 유형에 따른 위험 인식의 차이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전제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위험 인식에서 프레이밍과 메시지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그리고 위험 유형이 위험 인식에서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더불어 위험 인식에서 세 변수의 상호작용이 예상이론의 위험 회피와 위험 수용에서도 동일하게 발생 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프레이밍은 예상이론(prospect theory)을 바탕으로 손실과 이익으로 구분하였고, 메시지 수용자는 이 연구의 중심 주제인 방사선에 대한 전문적 교육 여부를 전제로 전문성 여부를 구분하였다. 더불어 위험 유형 은 기존의 연구에서 방사선 위험과 관련하여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에 차이가 나는 유형을 선별하였다. 실험은 방사선을 이용한 식품 살균과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 사례를 중심 으로 실시했다. 프레이밍과 전문성 유무는 실험 집단 간 설계이며 위험 사례는 실험 집단 내 설계로 실시했다. 연구결과 대부분 위험 유형과 수용자의 전문성 유무에 따라 위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인식의 세 가지 요소인 친숙성, 이익성, 필요성에서 모두 전문성 유무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위험 인식의 이익성 요소에서는 프레이밍 유형과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위험 유형의 세 변수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위험 수용은 전문성의 유무에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가 일반인보다 위험을 더 폭넓게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회피에서는 위험 유형과 전문성 여부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메시지 프레이밍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2)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에 따른 위험 인식의 차이
  3) 위험 유형, 프레이밍, 그리고 전문성에 따른 위험 인식
  4) 변수들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
  5) 연구문제와 연구가설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실험의 실시
  3) 변수의 조작
  4) 사전조사 및 분석
 4. 연구결과
  1) 위험 인식에서 위험 유형, 프레이밍, 수용자 전문성의 상호작용
  2) 위험 회피에서 위험 유형,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상호작용
  3) 위험 수용에서 위험 유형,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 전문성 상호작용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효진 Hyo-Jin Kim.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부 석사
  • 김영욱 Yung-Wook Kim.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