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 정체성의 보편적 인식 차원과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mension of National Identity Universal Perception

김유경, 김유신, 박성현, 이효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raise the value of national brand, defining national identity that is based on competitiveness and bond of sympathy, which creates national image, must be done beforehand. Thus, the research focuses on investigat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national identity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A dimension of national identity, which includes nation’s history and value, and cultural uniqueness, global citizenship,national heritage, value system, global leadership, and emotional attachment based on goals to be aimed, was able to be drawn by the research. In addition, such dimensions were applied to United States of America,France, Japan, China, Iran, and many other rival nations to verify validity and examined effect of national identity on nation’s growth. A result from the research provided basic foundation of the study on national identity that is commonly applicable to each nation. In other words, a methodology from this research will be a valuable guideline to any follow-up investigations that is to be done on relevant nations. Furthermore, a definition of managing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is study is to inform with consistency about nation’s core capability and thoughts. The two useful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following. One is to infuse publics with a feeling of expectancy to stimulate intention to purchase; another is that it induces inner members to unite together for development of a nation under one common goal regardless of individual’s interest. Hence, a result from this research shows dimensions of each nation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implications in promotion & focused administration that corresponds to a goal, nation’s growth.

한국어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 이미지의 실체라 할 수 있는 경쟁력과 공감대를 갖춘 국가 정체성 의 정립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 차원에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보편적으 로 적용 가능한 국가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국가의 역사와 가치, 그리고 지향하는 목표 를 토대로 한 문화적 특이성(cultural uniqueness), 글로벌 시민성(global citizenship), 국가유산(National Heritage), 가치 체계(Value System), 글로벌 리더십(Global Leadership), 감성적 애착(Emotional Attachment) 등의 국가 정체성 차원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도출된 국가 정체성 차원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이란 등의 경쟁 국가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국가 정체성이 국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국가 정체성의 관리는 국가의 핵심 역량과 사상을 담아 이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는 관련 분야의 기대감을 고취시켜 구매 의도를 자극시킬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개인의 이해관계를 떠나 하나 의 공통된 목표 아래 국가 발전을 위한 내부 구성원들의 결집을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경쟁국가 대비 각 국가들이 차별성 있는 정체성 차원과 국가 성장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정체성 차 원의 집중적 관리와 육성에 대한 시사점을 가진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국가 정체성 연구 설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즉 해당 국가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조사될 후속 연구 진행 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목차

요약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이론적 논의
  1) 국가 브랜드 구축의 의미와 국가 정체성
  2) 정체성 개념과 국가 정체성 정의
  3) 국가 정체성 구성 요소에 관한 선행 연구 고찰: 실체적 요소의 정립
  4) 국가 브랜드 자산과 정체성 인식의 영향: Y & R BAV를 중심으로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1) 사전 조사
  2) 본 조사
 5. 분석 결과
  1) 국가 정체성 차원 도출
  2) 국가 정체성 구성 요소에 대한 국가 간 차이
  3) 국가 정체성의 인식이 국가 위상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
 6.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경 You-Ky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 김유신 Yoo-Shin Kim.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철학 박사
  • 박성현 Sung-Hyun Park.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연구원, 광고학박사
  • 이효복 Hyo-Bok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