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각추구성향, 자기효능감과 소구 유형이 메시지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폭음 예방 공익 캠페인 중심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Self-efficacy and Appeal Types on the Messag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A Focus on the Binge Drinking Prevention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이유빈, 김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ssue of binge drinking and alcohol abuse is a serious problem,which damages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ogether with huge physical and mental prices. To increase the effects of public health campaigns,audience segmentation is required and sensation seeking with self-efficacy works as a key criteria for attitudes toward messages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risky behaviors such binge drinking. Besides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appropriate appeals such as fear and humor also influences the audience’s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three variables, sensation seeking, self- efficacy and appeal types, intermingle together to influence attitudes toward campaign messages and behavioral intention. An experiment with 340 participants was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Sensation seeking and self-efficacy interacted only with the humor appeal against the message attitude. The message attitude was highly positive in the low sensation seeking and high self-efficacy group in both appeals. No interaction effects were detected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self-efficacy against behavioral intention. Only main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heoretical ramif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further.

한국어

절주 캠페인을 비롯한 공중 건강 메시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감각추구성향(Sensation Seeking)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메시지 태도와 행동 의도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캠페인 메시지 수용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의 신념과 성격적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소구들에 대한 적절한 활용이 가능한데, 특히 공포 소구와 유머 소구는 캠페인 및 광고 메시지 전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소구유형이다. 이 연구는 캠페인 수용자의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 수준, 그리고 소구 유형이 캠페인 메시지 태도와 수용자의 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가설 및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20대부터 60대까지의 성인 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메시지태도에 관한 분석 결과 유머 소구 유형에서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성이 발견되었다. 한편, 캠페인 행동 의도에 대해서는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주효과만 발견되었을 뿐 각 변인 간 상호작용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폭음 행위에 대한 이해
  2) 감각추구성향과 폭음 행위
  3) 자기효능감의 의미
  4) 공포 소구와 유머 소구를 이용한 캠페인 효과
  5) 감각추구성향, 자기효능감, 소구 유형의 관련성과 캠페인 효과
 3. 연구 가설 및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1) 실험 설계와 피험자 선정
  2) 실험 절차 및 실험 조작물
  3) 주요 변인 측정
  4)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및 문항 신뢰도
  2) 인구통계학적 특성
  3) 가설 및 연구 문제 검증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유빈 Yoobin Rhe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부 석사
  • 김영욱 Yungwook Kim.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