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제PR관점으로 본 공공외교전문성에 관한 연구 : 문화 중심적 접근을 통해

원문정보

The Study on Public Diplomacy Professionalism From the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 Focus on Cultural Centered Approach

안보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have been done by various actors such as governments, conglomerat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and broadcasting companies. Public diplomacy is also defined as diplomacy by a variety of actors beyond government. These overlapped and intertwined activities of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plomacy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and independent activities of both sides. There are two opinions on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plomacy. Some scholars regard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s part of public diplomacy activities. They think of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s promotion activities of national brands or forming activities of public opinion. The other scholars consider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re different from public diplomacy because they think public relations as propaganda or one-way persuasion. Grunig (1992), however, tried to change these traditional perspective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from one-way asymmetrical communication to two- way communication. Wang(2006) argued that effective public diplomacy is based on dialogue between two countrie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public diplomacy professionalism on international agenda through surveying opinions of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from this two-way and dialogic perspective-"cultural perspectiv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ed as follows. It turned out that public diplomacy professionalism consist of followed abilities or values: diplomatic ability, respectful attitude to other culture, media / negotiation abilities,relationship / dialogue, collaboration / embrace, approval / public opinion. This research finding shows that future study on public diplomacy professionalism would be better to be done by united and multidisciplinary efforts; it should be actualized enough to reflect the practitioners'need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consolidat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nd public diplomacy activities based on a variety of research findings on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plomacy from public relations perspective. These findings implies that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plomacy activities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 opinion of other countries from cultural perspective; it also indicates that public diplomacy professionalism should be focused on more cultural perspective which enable u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in depth.

한국어

국제PR연구에서 다루어지는 PR주체는 정부, 기업, NGO, 방송국 등 다양하며, 구체적으로 정부의 공공외교, 해외진출기업이 수행하는 PR, NGO 의 해외활동, 한류를 통한 방송국의 해외활동 등 다양한 국제PR활동이 전 개되고 있다. 특히 공공외교는 정부를 넘어선 다양한 주체를 통해 행해지는외교로 정의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공공외교와 국제PR활동은 일부 중첩되는 부분이 있다(Signitzer & Coombs, 1992). 공공외교의 일부로 국제PR을 보는 입장이 있는데, 이는 국가브랜드 이미지증진이나 해외공중 여론조성의 측 면으로 국제PR을 보는 입장이며, 공공외교와 국제PR을 다른 개념으로 보는 입장이 있는데 이는 국제PR을 선 전이나 일방적 설득과정으로 보는 입장이다. 하지만, Grunig(1992)은 PR 의 개념을 이전의 일방불균형적인 선 전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쌍방균형적인소통의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Wang(2006)은 효과적인 공공외교는 선전 보다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외교 전략과는별도로, 정부외교로 풀지 못하는 국제적 쟁점에 대해 다양한 문화외교 주체들이 가져야 할 공공외교전문성을 국제PR관점의 특수성의 관점에 서 살펴보고, 이를 해외PR업무 담당자들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공외교전문성 요인은 외교전문성, 문화존중, 미디어협상, 관계대화, 협력수용, 승인여론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공외교에 필요한 전문성연구는 다 학제 간 연구 로폭넓게 진척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학제 간 연구결과는 실제 실무자들의 필요를 반영하여 구체화되어 야 하고, 교육을 통해 실무자들의 필요가채워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더불어, 본 연구는 앞서 말한 바와 같 이이전에는 독립적으로 다루어져 온 공공외교 영역을 최근의 국외연구경향을 반영하여 다 학제 간 연구로 진 척시키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문화존중, 관계대화, 협력수용, 승인여론 등은 일방적인 외교가 아닌 타국공중의 여론을 반영한 쌍방적 외교를 대안외교로 제시한다. 이는 앞서 많은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 는 대목이다. 이는 실무에서 역시, 공공외교 실무전략을 도출하기 전, 상대국이나 타국의 문화를 심도 있게 이 해해야 하는문화 중심적 접근이 필요함을 역설하는 연구결과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연구
  1) 공공외교와 국제PR
  2) 공공외교와 문화적 접근
  3) 공공외교전문성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조작적 정의
  2) 연구방법
 5. 연구결과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3) 공공외교전문성 구성요인
  4) 성별, 담당별, 전공별 전문성 인식차이
 6. 논의 및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보섭 Bo-Seob An.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