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미디어 PR 콘텐츠의 품질평가 : 동영상 및 이미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valuating Social Media PR Contents : A Study on Video Clips and Images Posted on Blogs and Contents-Sharing Sites by Telecommunication Companies

이유나, 문빛, 박건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ise of social media is posing grea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Public Relations in South Korea. Public relations as a discipline has been focusing on generating effective persuasion through message distribution from the corporation’s or organization’s. However, with the coming of social media,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are asked to rethink the way they have bee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Although there have been calls for empirical research on the use of social media in public relations, it is not easy to find such studies. In particular, research on how the public are evaluating social media contents such as video clips and images posted by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on blogs and contents sharing sites; and what kind of communication contents prompt online word-of-mouth with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s implemented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to conceptualize social media contents quality and proposed an exploratory quality evaluation model. Furthermore, the researchers tested the proposed model through a survey research (N=538).

한국어

전통적인 미디어와 대별되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등장은 최근PR영역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공중들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기술을 사용하여, 특정 기업이나 조직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경험 등을나누기도 하고, 기업에서 생산한 콘텐츠들을 자발적으로 전달하거나 확산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매스미디어 중심으로이루어져 왔던 기존의 PR활동에 대한 전면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PR영역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소셜 미디어 PR활동의 일환으로 기업, 제품, 서비스등에 관한 정보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영상과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의 품질에 대해 공중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또 어떠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소셜 미디어 콘텐츠 품질을 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영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을 서베이를 (N=538)통해 검증하였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 소셜 미디어와 PR
  2) PR캠페인 도구로서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동영상과 이미지
  3) 소셜 미디어 콘텐츠 품질(SMCQ)의 개념과 구성차원
 3. 연구방법
  1) 조사절차 및 응답자의 구성
 4. 연구결과
  1) SMCQ요인의 구조 탐색 및 내적 일관성
  2) 수렴 및 판별타당도
  3) 교차타당도
  4) 기준타당도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유나 Yunna R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 문빛 Bitt Beach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연구원
  • 박건희 Geonhee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