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조직의 홍보 부서 진단에 대한 연구 : 전략, 체계, 구성원, 위상 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Diagnosing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in Korean Organizations on Their Programs, Practitioners’ Qualification, Knowledge Base, Budget and Status

신호창, 유선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level of excellence of the PR department in Korean organizations based on the diagnostic model for the excellence of public relations department. This model includes the six dimensions; public relations programs, practitioners’ qualification,knowledge base, budget, and departmental status and support in organization. Two research questions and one hypothesis were held and 161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in 22 Korean organizations were interviewed to see how they evaluated the six dimensions of the model and their effects on overall evaluation of public relations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qualification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status are the most significant dimensions on the overall public relations activity. The factors of public relations as a management function, supports from the organization,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departments in public relations status dimension affect positively on the overall activity. Among practitioners’qualification factors, assigning proper practitioners to each public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e differences in six dimensions by the sales, net profit and the number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re also found. The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the future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우수 홍보 부서 진단 모델을 바탕으로 한국 조직의 홍보 부서의우수성 정도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조직의 홍보 부서는 우수 홍보 조직 진단 모델에서 제시하는 차원-홍보 전략 운용, 홍보 부서 구성원의 적절성,홍보 지식 기반, 홍보 부서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홍보 예산, 홍보 부서의 위상및 전사적 지지-에 대해 어느 정도의 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홍보 조직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황에 따라 각 차원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6개의 차원 중 전반적인 홍보 수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차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조직의 홍보 부서 실무자들은 홍보실 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진단한 홍보 부서 커뮤니케이션 체계 차원과,홍보실의 위상이 높고 전사적으로 지지를 받는가를 진단한 차원에서 홍보 부서의 우수성이 가장 높이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홍보 부서의 특성과 기업의 현황에 따른 각 차원의 평가 차이를 살펴본 결과, 홍보 부서 구성원 수에 따라서는 지식 기반 차원을 제외한 5개의 차원에서, 매출액에 따른 차이는 홍보 전략 차원과 홍보 지식 기반 차원에서 나타났으며, 순이익에 따라서는모든 차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홍보 수행에 영향을미치는 차원은 홍보 부서 위상 차원 및 홍보 부서 구성원의 적절성 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상 차원에서는 경영활동으로의 홍보의 활용 정도, 전사적인 홍보마인드의 형성, 인사, 법, 재무 마케팅 부서와의 협력 정도가, 구성원의적절성 차원에서는 소구 공중별로 담당자의 배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수한 홍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홍보부서의 위상 확립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고려해야 할 구체적 요인들이 도출되어 홍보 부서가 향후 홍보 활동 수행 수준을 높일 수 있는방안들이 시사점으로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문헌 고찰
  1) 홍보 전략 운용
  2) 홍보 부서 구성원의 적절성
  3) 홍보 지식 기반
  4) 홍보 부서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5) 홍보 예산
  6) 홍보 부서의 위상 및 전사적 지지
  7)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3. 연구 방법
  1) 조사 방법 및 표본
  2) 설문의 구성 및 신뢰도·타당도 검증
  3) 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4. 연구 결과
  1) 각 차원에 대한 진단 및 평가(연구 문제 1)
  2) 홍보 부서 특성 및 기업의 현황에 따른 평가의 차이(연구 문제 2)
  3) 각 차원과 홍보 수행 수준과의 관계(연구 가설 1)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호창 Ho-Chang Shin.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유선욱 Sun-Wook Yoo.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