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국산 쇠고기 수입논란에 대한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와 공중 반응 : 서울지역 대학생 공중의 반응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Blic Reactions to Korean Government Messages to Restore Public Trust in the Wake of the Crisis Stemming from the Decision to Resume U.S. Beef : Imports Centering Around the Reaction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유재웅, 박현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Government messages intended to overcome a crisis situation in the wake of the social frenzy surrounding the resumption of U.S. beef imports and the subsequent reaction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public reactions to the Government messages, the public reacted unfavorably to defensive messages as expected. With the escalation of the crisis, the Government took account of public opinion and sent out an accommodating message, but the public reacted unfavorably to it as well.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oint to the mismanagement and in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message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crisis. They also illustrate that the Government failed to secure public trust before and after the crisis erupted. The different types of public reactions to the Government messag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when it comes to the group opposed to U.S. beef imports, those who were active reacted more negatively to the Government message than those who were inactive. In the group that favored U.S. beef impor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were active and those who were inactive.These facts demonstrate that only in the group opposed to U.S. beef imports, which constituted the majority of public opinion, those who were active showed more critical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defensive or accommodating messages of the Government than those who were inactive.

한국어

이 연구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문에 대한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와 대학생 공중의 반응을 살펴본 것이 다. 정부의 위기극복 메시지에 대한 공중의 동의 정도를 검정한 결과, ‘방어적’ 메시지에 대한 공중의 동의 정도는 예상대로 낮았으나, 위기정도가 심화되면서 공중의 여론을 수용한 ‘수용적’ 메시지에 대해서도 공 중의 동의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위기발생 초기단계의 정부 메시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스테이크홀더에 대한 사전, 사후 신뢰 확보에 성공치 못했음을 보여준다. 공중의 유형 별 정부 메시지에 대한 반응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집단은 그렇지 않은 공중집단에 비해 정부 메시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정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국산 쇠 고기 수입에 찬성하는 집단의 경우 ‘활동적 공중’ 과 그렇지 않은 공중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다. 즉, 다수 여론을 형성하고 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공중집단의 경우에만 활동공중이 비활동 공 중에 비해 정부의 방어적 메시지나 수용적 메시지에 대해 보다 비판적인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고찰
  1) 위기극복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2) 공중의 유형과 대응전략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 분석  
  2) 정부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공중의 반응
  3) 공중의 유형에 따른 정부메시지에 대한 반응 
 5. 결론 및 연구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재웅 Jae-woong Yoo. 을지대학교 홍보디자인학과 교수
  • 박현유 Hyun-yu Park.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