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다이어트 행동 과정과 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Dieting Behaviors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Using Informations of Dieting

조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dieting and use information for their successful dieting. Ten hypotheses were made, focusing on 7 variables, and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the fatter they perceived their body shapes, the more they concerned about dieting; the more they concerned about dieting, the more they were in action of dieting, and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s of dieting. And their dieting strength was influenced by how their being concerned about dieting rather than how fat their perceiving their body shapes. Moreover, the more they were concerned about dieting, the more they pursued informations of dieting; the more they pursed informations of dieting, the more they were in action dieting; and they used actually more informations of dieting by how their pursuing informations of dieting rather than how their concerning about dieting. More importantly, their own values of ideal body shape, not affected directly by media and the other factors such as brothers, sisters, friends, parents and others, led their dieting and pursuing informations more activel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들의 다이어트 행동과 다이어트 정보이용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이어트 행동 변인으로는 체형인식정도, 다이어트 관심도 및 다이어트 실천도를, 다이어트 정보이용행태 변인으로는 다이어트 정보추구 성향, 다이어트 정보실천성향 및 다이어트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설정하였으며 두 변인군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내재화된 체형인식성향을 설정하 였다. 이들 각 변인군 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피어 슨의 적률상관계수 r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 생들은 자신의 체형이 비만하다고 인식할수록 다이어트에 관심이 높았으며 다 이어트에 관심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실천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이어 트 실천을 위해 사용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만하다는 인식정도와 다이어트 관심도란 변인이 함께 존재할 때 다이어트 관심도가 다이 어트 실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다이어트 관심도가 높을수록 다이 어트 정보추구성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실천성향도 높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정보추구성향 은 다이어트 관심도보다 다이어트 정보실천성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설 검증과정에서 특히 놀라운 사실은 내재화된 체형인식성향이란 변인이 비만한 체형인식정도보다 다이어트 실천도를 예측하는 데 더 효과적이 며 또한 다이어트 정보실천성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도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기존 문헌연구
  1) 다이어트 행동의 발생원인
  2) 다이어트 정보 이용 행태
 3. 연구방법
  1) 측정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2) 조사
 4. 연구결과 및 논의
  1) 응답자 특성
  2) 가설 검증 및 논의(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 논의)
  3) 각 변인별 남ㆍ여학생 집단 간 차이
 5.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연구의 함의
  3)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재영 Jae Yung Cho. 청운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