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에이즈 문제에 대한 관여도 차원별 인식의 차이와 낙관적 편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elf-Serving Bias for HIV/AIDS Infection Among College Students

차동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serving bias for HIV/AIDS infe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research indicated, as expected, the rates of respondents for HIV/AIDS varied with dimensions of involvement. At social level of involvement, respondents demonstrated high agreement that HIV/AIDS is very serious problem and has a potential impact to the future of society as well. On the contrary, most of them agreed that HIV/AIDS is not serious problem for them personally, furthermore it would not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futures. Besides students perceived their own vulnerabilities much lower than those of other persons. In contrast, subjects judged themselves and close friends as equally invulnerab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be very suggestive for HIV/AIDS prevention campaign. First, HIV/AIDS preventive campaign aimed to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re indispensable. Second, in this case, the core message of campaign is advised to be produced to enhance the personal involvement of target audience. Last, the message of PSA could be persuasive if delivered by familiar model to the students rather than expert as possibl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에이즈 문제에 대한 관여도 차원별 인식의 차이와 낙관적 편견 현상을 조사하는 데 있었다. 연구 결과, 가설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응답자들의 에이즈에 대한 인식은 관여도의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적 차원에서 응답자들은 에이즈가 우리 사회에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우리 사회의 장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높은 동의 수준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개인적 차원에서 볼 때, 에이즈가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심각한 문제가 아니며 자신의 장래에도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데 대체로 동의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자신의 상대적 감염 가능성을 비교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다르게 평가했다. 자신을 막연한 타인들과 비교할 때에는 자신의 감염 가능성을 아주 낮게 지각했다. 그렇지만 비교의 대상이 다른 사람들이 아닌 자신의 가장 가까운 친구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자신의 감염 가능성을 친구들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즉, 응답자들은 에이즈 문제에 대한 낙관적 편견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에이즈 예방 공익 캠페인 전개 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청소년 혹은 대학생 대상의 에이즈 예방 공익 캠페인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럴 경우 공익 캠페인의 메시지는 표적 집단의 개인적 관여도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야 하고 공익 광고 모델을 설정한다면 전문가보다는 표적 집단이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보통 사람이 더 설득적일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1) 관여도의 차원
  2) 낙관적 편견
 3. 연구 방법
  1) 응답자 선정 및 자료 수집
  2) 주요 변인의 측정 및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2) 에이즈에 대한 관여도 차원벌 평균치 차이
  3) 비교 대상에 따른 자신의 지각된 감염 가능성
  4) 인구 사회학적 변인과 자기 중심적 편향과의 관계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동필 Dong-PiI Cha.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