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ocalism & Relationship : A review of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cultural events
초록
영어
Broadcasting industry in Korea is undergoing a significant re- integration,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due to fast evolving media environment and changes of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Economic viability is among the top list for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survival strategies. Unlike other approaches to the issue most of which address the s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gram position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ultural events hosted by local broadcasting stations affects relationship with community publics. Four dimensions of relationship measure are utilized for the research : trust, commitment, local community involvement, reputation.
한국어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등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대두, 디지털 방송의 실시, 방송시장 개방 등 최근의 방송환경의 변화는 취약한 경쟁력을 가진 지역방송의 존립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방송의 생존가능성을 위협하는 외부적 요소들에 대처하고 바람직한 역할을 정립하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전문가 집단의 지역방송 활로방안이나 기대가 주로 프로그램의 경쟁력 강화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방송이 갖는 특수성은 지역방송사와 지역시청자간 관계가 방송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전적으로 매개되는 것이 아니라는 데에 있다. 그래서 지역방송은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이라는 기본적인 역할 외에도 지역주민의 고용, 지역주민과 지역방송인들의 접촉과 교류, 부대사업을 통한 상호작용 등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논의의 초점에서 나아가 지역방송사가 주관하는 문화행사가 갖는 지역공중과의 관계성에 주목한다. 지역방송사들이 주최하는 문화행사는 문화적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지역사회에 대한 지역방송의 기여를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전국규모의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지역 방송사들의 문화행사는 방송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보다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매개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지역 방송사들은 문화행사를 통해서 PR에서 말하는 조직적 성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연구문제
1) 지역방송의 정체성
2) 지역공동체에 대한 지역방송의 공중관계성
3. 연구방법
1) 설운조사
2) 주요 변인의 측정
4. 연구결과
1) 공중 관계성에 대한 영향
2)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