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포지엄 특집논문

対馬藩における秀吉像の変遷 -『両国壬辰実記』成立の背景 -

원문정보

Transition of Hideyoshi image in the Tsushima ― Background of Ryoukokujinshinjikki has been established ―

쓰시마에 있어서의 히데요시 상의 변천 ― 『양국임진실기』성립의 배경 ―

箕輪吉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sushima-ban didn’t leave the document about Hideyoshi and Imjin War. Tsusima would like to avoid to mention about Hideyoshi or Imjin War because Tsusima were badly fixed unless they diplomacy with Korea. After Ieyasu became Shogun and resumed the diplomacy with Korea, there were rumors in Tsusima that If Korea refuses to resume the diplomacy, Ieyasu will also attack Korea as Hideyoshi. Criticizing Hideyoshi’s invasion to Korea could be connected to the criticize of Ieyasu in some cases because of the rumor which were told in Tsusima that Ieyasu will attack Korea. Tsusima believed firmly to the fact that Ieyasu called Tsusima as the border area of the country, and conceived a plan to draw the economic concessions from the Bakuhu. At the beginning when both sides resumed the diplomacy after Imjin War, Korea all accepted to the strong demand of Japan because of the aftermath of Imjin War. But as the aftermath faded away and Korea rather became to show their power, the diplomacy went athwart Tsusima’s purpose. Consequently, appearing border area on the surface and drawing econimic concessions, “The need of education for the ones who are related to the diplomacy” was required to counter Korea, who were organizeing the documents. Meanwhile, Tsusima was a village surrounded by sea on all sides and they needed the prepatation for the invasion of pirates, but were not accomplished. When the negotiation about 12 second time Diplomatic corps were proceeding with difficulty, Tsusima started to collect the classics or documents about Imjin War. “Ryoukokujinshinjikki” is a book which was edited in such ambience. This book ends with the words of Ieyasu demanding the diplomacy to resume such as “Hideyoshi’s invasion to Korea wasn’t consistent with what is right, negotiate so that we can form a good-neighbor, but if Korea refuse to do so and shows ungracious behavior, Ieyasu won’t leave it at that, and will also invade Korea.” Yamamzaki Hisanaga, who compared and described “Chohiroku”and the document of Japan, had the same stance of traditional Tsusima. The last Lord of Tsushima clan Sou Yoshiakira made Antoku-Tennou as forefather in their genealogy, and Tsusima as the border area of the country. It was because the government of the Meiji Restoration wanted to take a stand about Tsusima. This was also the same idea of Ooshima Tomonozyouu who tried to protect the particular right and profit of Tsusima by advocating Conqueror Korea TheoryThroughout the last period of Bakufu to the Meiji Restoration, Hideyoshi was reinstated. Houkokusya was also restored. The logic so called “The border area Tsusima” went beyond the secure of particular right and profit of Tsusima and finally became to draw the entire Japan.

한국어

쓰시마(対馬)번은 히데요시(秀吉)나 임진왜란에 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조선 과 통교를 하지 않으면 경제적 수단이 막혀버리는 쓰시마로서는, 히데요시나 임진 왜란에 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피하고 싶은 일이었을 것이다. 이에야스(家康)가 쇼군(将軍)이 되고 조선과 통교를 재개하려 교섭을 하고 있었던 쓰시마 내부애서 는 ‘만약 조선이 통교 재개를 거부한다면, 이에야스도 또한 조선을 공격할 것이다’ 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쓰시마에서는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에 관한 비판이, 자칫하면 이에야스에 대한 비판으로 연결될 소지가 있었다. 쓰시마번은 히데요시가 남긴 “쓰시마는 나라의 변방”이라는 말을 내세우며, 바쿠 후(幕府)로부터 경제적인 양보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계략을 짜게 된다. 통교가 재개 되어진 초기에는 임진왜란의 여파가 있어, 조선은 쓰시마의 무리한 요구도 들어주 었지만, 그 여파가 점차 옅어짐에 따라 조선이 도리어 점차 무위를 뽐내게 되자, 통 교통상은 쓰시마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변방임을 내세우며 바쿠후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이끌어내고, 조선이 기록을 정비하고 있는 것에 대항 하기 위해서, 통교에 관련된 자들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게 된다. 한편, 사 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쓰시마이기에 타국의 해적선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지만, 이 는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결국 쓰시마는 임진왜란에 관한 전승이나 옛날 필사본 등 기록을 모으기 시작한다. 『양국임진실기』는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편 술(編述)되어진 서적이다. 이 서적은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한 것은 아무런 명분 도 없는 것이니, 교린을 맺을 수 있도록 교섭을 해라. 만약 조선이 이를 거부하며 무례하게 굴 때는, 내버려 두지 않고 이에야스 또한 조선을 침공할 것이다”와 같이 통교재개를 재촉하는 이야에스의 말로 그 끝을 맺고 있다. 일본측 문헌을 『懲毖 録』과 대조하며 기술한 야마자키 히사나가(山崎尚久) 역시 종래 쓰시마의 입장과 다를 바 없다. 마지막 번주였던 소 요시아키라(宗重達)는 가보에서 선조를 안토쿠( 安徳) 천황으로 삼은 다음, 쓰시마는 나라의 변방임을 메이지(明治) 정부에 주장했 다. 쓰시마의 확고한 위치를 다져놓으려 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이것은 정한론( 征韓論)을 부르짖던 오시마 도모노조(大島友之允)의 생각에 이어지게 된다. 바쿠후 말기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히데요시는 다시금 그 권력을 되찾아간다. 호 코쿠샤(豊国社)도 재건되어진다. ‘쓰시마는 변방’이라는 논리는 쓰시마의 특수권 익을 확보한다는 단계를 넘어서, 결국에는 일본 전체를 연루시키게 된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本論
  1. 規伯玄方進献巻子本における秀吉
   1.1 『太閤秀吉朝鮮征討起本』
   1.2 『家康公初命和睦次第并信使来朝事』
  2. 家譜に見える秀吉
  3. 『朝鮮通交大紀』における秀吉
  4. 雨森芳洲
   4.1 秀吉批判
   4.2 余威
  5. 国の藩屏
 Ⅲ. おわりに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箕輪吉次 Minowa Yoshitsugu. 慶煕大學校 日本語学科 教授、日本近世文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