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Art Therapists' Stress-coping Skill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Vicarious Trauma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vicarious trauma of art therapist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80 individuals, some of whom were under training to be an art therapist and the rest of whom were certified art therapists.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s soon as they are filled out. This process of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5 times during 150 days. The instrum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surveying about general traits of the participants, an accident impact scale, a stress-coping skills scale, a social support scale, and a self-efficacy scal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produc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rt therapists' vicarious trauma was low-middle while the levels of art therapists' stress-coping skill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all above middle. Seco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vicarious trauma, stress-coping skills, and self-efficacy. Third, hopeful thinking in the stress-coping skills doma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carious trauma while confidence in the self-efficacy domain and social support in the stress-coping skills domai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vicarious traum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 관련변인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훈련과정 중이거나 미술치료사 자격 소지자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표집은 질문지를 직접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150일 동안 5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문지, 사건충격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자기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신뢰도분석,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 수준은 중하수준이었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은 중간이상 수준이었으며, 사회적 지지 수준은 중간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간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효능감은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 중 소망적 사고는 대리외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스트레스 대처 중 사회적 지지 추구는 대리외상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및 자기효능감의 일반적 경향
2.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3.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