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aths through which academic burnout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school adjustment, verify the path model of each factor, and examine the mediator effects of self-efficacy.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713 third year students of 3 different middle schools in city G. The first finding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 coefficient and suitablility index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ath model was also significant. Second, academic burnout had direct nega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hile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ird, self-efficacy was confirmed to have meaningful mediator effects 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burnout caused by excessive demand for academic success on korean students has nega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if self-efficacy is well developed as an individual factor, school maladjustment can be reduced.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are necessary in school adjustment.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is study's finding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G시에 있는 세 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 713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로계수와 적합 도지수가 유의하여 경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부 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소 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부 과되는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한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개인변인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잘 발달되어있다면 학교부적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 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업소진
2.2 자기효능감
2.3 학교적응,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연구대상
3.3 검사도구
4. 연구결과
4.1 상관분석
4.2 모형적합도 분석
4.3 경로모형 검증
4.4 매개효과 검증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