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규칙적 신체활동이 남자대학생의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in Male College Students

남정혜, 이명철, 이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r exercise habit, self-rated health status, health practice index,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among 241 college male students from Gyeonggi-do.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PE) and students who are not majoring in PE. The average BMI were 22.77±2.74 among PE majors and 21.57±4.30 among the other group. PE majors showed higher results in all of physiological, subjective and social health conditions. Both groups showed low scores in health practice index, which were 2.86±1.10 among PE majors and 2.97±1.46 among non-PE majors, showing no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Index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were somewhat higher among PE major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results of 123.38±19.93 among PE majors and 119.98±22.04 among non-PE majors. The analysis on the index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in sub-categories showed that PE maj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mpared with non-PE majors in physical activities area and vice versa in nutrition area.

한국어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체육전공 여부에 따른 규칙적 신체활동이 건강상태, 건강행위 실 천지수 및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는 체육전공군 22.7±2.7, 비전 공군 21.5±4.3으로 체육전공군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생리적, 주관적, 사회적 건강상태의 경우 체육전공 군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사회적 건강상태의 경우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위실천지수는 체육전공군 2.8±1.1 점, 비전공군 2.9±1.4 점으로 두 군 모두 건강실천행위 정도가 낮았고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체육전 공군 123.3±19.9 점, 비전공군 119.9±22.0 점으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육전공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 영역별 실천정도 중 신체활동영역은 체육전공군에서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난 반면, 영양영역에서는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건강책임, 대인관계, 영적성장, 스트레스관리 영역에서는 두 군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기간
  2.2 연구내용
 3. 연구결과
  3.1 일반사항
  3.2 신체적 특성
  3.3 건강행위 실천지수
  3.4 건강상태
  3.5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
  3.6 건강상태와 건강증진생활양식 상관관계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남정혜 Jung-He Nam.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전공
  • 이명철 Myeong-Cheol Lee. 경민대학교 레저스포츠과
  • 이채경 Chae-Kyung Lee. 경민대학교 보건행정과 강의전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