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관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임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 This study conducts the survey on 278 police officers working for Daejeon Metropolitan Police Agency. By factor analysis, challenging work, superior officer's management style, relation with colleague, educationㆍpromotionㆍappraisal system, pay and benefit system, welfare policy, equipment and shift work system, friendship meeting, relation with citizen, and stability of organizational policy are group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is affected statistically by challenging work(β=.411), superior officer's management style(β=-.179), pay and benefit system(β=-.178), equipment and shift work system(β=.145), relation with citizen(β=.262), and stability of organizational policy(β=.206). But, the job satisfaction is not affected by relation with colleague, welfare policy, educationㆍpromotionㆍappraisal system and friendship meeting, and by demographic variables(sex, age, educational attainment, years of service, rank). Therefore,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the police manager must make the comprehensive effort.

한국어

직무만족도란 비물질적이고 심리적인 것으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내재적ㆍ 외재적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고 있는가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지각된 반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함으로써, 경찰관 직무만족도의 주요결정요인들 중 에서 어떤 요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경찰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전지방경찰청 소속 2개 경찰서에 근무하고 있는 경찰관 27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연구의 독립변수로서 개인적 요인 5개 변수, 직무관련 요인 5개 변수, 조직관련 요인 5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즉, 개인적 요인에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근무기간, 계급을 선정하였고, 직무관련 요인에는 도전적 직무, 상관의 관리방식, 동료와의 관계, 직장 의 친목모임, 주민과의 관계라는 5개 변수를 선정하였고, 조직관련 요인으로서 조직정책의 안정성, 교육ㆍ승진ㆍ평정제도, 보수 및 수당제도, 복리후생제도, 장비 및 교대근무제도라는 5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이다. 회귀분석의 결과, 종속변수인 경찰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독 립변수는 도전적 직무(β=.411), 주민과의 관계(β=.262), 조직정책의 안정성(β=.206), 상관의 관리방식(β=-.179), 보수 및 수당제도(β=-.178), 장비 및 교대근무제도(β=.145)의 6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 변수, 동료와의 관계, 직장의 친목모임, 복리후생제도, 교 육ㆍ승진ㆍ평정제도들은 경찰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경찰관 직무만족도의 향상은 단순한 1~2개의 정책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 라 경찰조직 및 인사관리 전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창호 Lim, Chang Ho. 대전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